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미나리 – 벽지서 분투하는 한인 가족의 아메리칸 드림 영화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제이콥(스티븐 연 분)이 가장인 한인 4인 가족은 캘리포니아에서 한인에 사기를 당해 아칸소의 숲속 트레일러로 이사합니다. 제이콥과 아내 모니카(한예리 분) 부부가 병아리 감별사로 근무하는 가운데 제이콥은 집 주변에 밭을 갈고 한국 채소를 심어 판로를 개척하려 합니다. 맏딸 앤(노엘 케이트 조 분)과 심장병이 있는 데이빗(앨런 킴 분) 남매를 돌보기 위해 모니카의 어머니 순자(윤여정 분)가 한국에서 와 함께 살게 됩니다.

아칸소의 벽지로 이사한 한인 가족

‘미나리’는 한국계 미국인 정이삭 감독이 각본, 제작, 연출을 맡은 자전적 영화입니다. 미국에서 태어났으며 아칸소로 이사했던 그의 경험이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습니다. 1980년대를 배경으로 아칸소 정착에 분투하는 한인 가족의 애환을 포착합니다. 비교적 짧은 시기를 시간적 배경으로 선택했으나 제이콥 가족의 과거의 행적은 물론 훗날 어찌 되었을지가 손에 잡힐 듯 선명해 풍성한 서사시를 연상시킵니다.

최근에는 덜하지만 20세기 중후반에는 미국에서 밑바닥부터 시작해 안착을 꿈꾸는 한국인이 많았습니다. ‘미나리’는 당시의 아메리칸 드림을 빚에 시달리는 제이콥과 모니카 부부를 통해 묘사합니다. 그들이 거주하는 트레일러는 전에 살던 이가 권총 자살을 했던 흉가입니다.

맨주먹으로 출발해 농사를 지으며 부를 얻으려는 가장과 그의 가족들의 삶을 다룬다는 점에서는 펄 벅의 ‘대지’와 공통점이 있습니다. 제이콥은 “아이들이 아빠가 성공하는 모습을 봐야 한다”며 아내 모니카의 만류나 조언은 귓등으로 무시합니다. 가장 가까운 병원이 승용차로 1시간이나 걸리는 벽지에 살면서 심장병이 있는 자식의 성장 환경보다 자신의 성공 여부가 더 중요한 이기적 인물입니다. 집념이 강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아집으로 뭉쳐 있으며 가족에 대한 배려가 없는 독선적 가장에 가깝습니다.

손자에 화투 가르치는 할머니

소년과 할머니가 처음 만나 서먹하지만 결국 깊은 정을 확인할 정도로 교감하게 된다는 점에서는 ‘집으로’를 떠올리게 합니다. ‘미나리’는 엔딩 크레딧 말미에 세상 모든 할머니에게 헌사를 바칩니다. 데이빗의 심장병과 야뇨증을 순자가 뇌졸중에 걸리며 대속해 가져가는 듯합니다. 데이빗의 심장병이 나아질 것이라던 순자의 예견은 마치 자신의 희생을 통해 적중했다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미나리’에서 가장 강력한 카리스마를 발휘하는 윤여정이 연기하는 순자는 전형적인 할머니 상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데이빗이 지적하듯 요리에 능해 손주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주는 할머니가 아니라 화투를 가르치는 할머니입니다. 마치 윤여정을 위해 만들어진 캐릭터와 같습니다.

순자의 남편은 한국 전쟁 중에 사망해 모니카는 외동딸이라는 설정입니다. 순자가 얼마나 억척스럽고 신산스러운 삶을 살며 모니카를 키웠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목에 십자가 목걸이를 착용할 정도로 독실한 개신교 신자이며 착실한 모니카와 달리 순자는 종교에 무관심하며 세속적입니다. 모녀의 대조적 성격도 ‘미나리’의 서사 전개를 흥미롭게 만드는 요소입니다.

제목이 미나리인 이유

순자가 한국에서 가져와 숲속 물가에 심어 풍성하게 자란 미나리를 제이콥과 데이빗이 수확하는 것이 결말입니다. 작품의 제목인 미나리를 보고 “알아서 잘 자라네”라는 제이콥의 마지막 대사는 낯설고 힘겨운 환경 속에서도 안착해 성장하는 데이빗과 가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향후 제이콥이 재배해 판매할 한국 야채에 미나리도 포함될 것이라 전망해볼 수도 있습니다.

‘미나리’는 원제가 한국식 명칭을 영어로 옮긴 ‘MINARI’이며 극 중 한국어 대사와 영어 대사의 비중은 대략 6:4 정도 되는 듯합니다. 자극적 사건이 없는 가운데 시종일관 잔잔해 대중적 영화는 아닙니다. 전혀 신파에 기울지 않고 담담함을 견지한 점은 높이 평가할 수 있습니다. 나이답지 않게 성숙해서인지 앤의 비중이 가장 적어 소외된 것은 아쉽습니다.

http://twitter.com/tominodije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