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결승전에 진출했습니다. 27일 문학구장에서 벌어진 인천 아시안게임 야구 준결승전에서 중국을 7:2로 물리쳤습니다. 하지만 경기 내용은 좋지 않았습니다.
2회말까지 잔루 5개
1회말 2사 후 김현수의 볼넷과 박병호의 유격수 실책으로 2사 1, 2루 기회를 얻었지만 강정호의 좌전 안타에 2루 주자 김현수가 홈에서 넉넉하게 아웃되어 득점 없이 이닝이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이 1회에 득점에 실패한 것은 처음으로 경기가 잘 풀리지 않을 것임을 암시하는 주루사 이닝 종료였습니다.
2회말에는 무사 만루에서 오재원이 풀 카운트 끝에 몸쪽 변화구에 헛스윙 삼진을 당했습니다. 무사 혹은 1사에 주자가 3루에 있는 기회에서 첫 번째 타자가 타점을 얻지 못하면 답답한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사 만루에서 첫 타자 오재원의 삼진 이후 흐름은 역시 우려대로 전개되었습니다. 1사 만루에서 민병헌의 우월 2루타가 터졌지만 1루 주자 강민호까지 무리하게 홈으로 파고든 가운데 2루 주자 황재균이 런다운 끝에 아웃되었습니다.
계속된 2사 만루에서 김현수가 바뀐 투수 치찌핑의 초구를 공략했지만 좌익수 정면으로 향해 추가 득점하지 못했습니다. 2이닝 연속 주루사로 인해 선취 득점에도 불구하고 잔루 5개로 대량 득점에 실패하면서 불길함이 문학구장에 드리워졌습니다.
이재학, 2실점 부진
3회초부터는 선발 이재학이 제구 불안을 노출하면서 접전으로 전개되었습니다. 3회초 1사 후 루이가 높은 직구를 받아쳐 안타로 출루한 뒤 희생 번트로 2루에 진출했습니다. 이어 강민호가 블로킹에 실패해 폭투가 되면서 루이는 3루에 안착하자 취시아오가 복판에 높게 몰린 체인지업을 좌측에 떨어지는 적시 2루타로 연결시켜 1:1 동점이 되었습니다.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한국이 첫 실점과 동시에 첫 동점을 허용하는 순간이었습니다.
3회말 1사 후 강정호의 좌중월 솔로 홈런이 터져 2:1로 다시 리드를 잡았지만 2사 후 황재균의 안타 출루가 무위에 그쳤습니다. 4회초 이재학은 선두 타자 왕웨이에 높은 직구를 넣다 안타를 얻어맞아 위기를 자초했고 계속된 1사 2루에서 양쑨이에게 높은 실투로 인해 적시 2루타를 허용해 2:2 동점이 되었습니다. 우익수 민병헌은 타구를 포구한 뒤 송구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공을 놓치는 실책을 저질러 1사 3루 역전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이재학은 9월 22일 예선 태국전 관전평에서 체인지업의 낙차가 예리하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오늘 경기에서도 체인지업이 3회초 이후부터 떨어지지 않아 가볍게 맞히는 중국 타자들의 방망이에 맞아나가기 시작했습니다. 4회초 1사 후 양쑨이의 적시 2루타와 민병헌의 실책으로 1사 3루 역전 위기가 되었을 때가 투수 교체의 적기였습니다. 다행히 역전으로는 연결되지 않았지만 이번 대회 들어 처음으로 상대에 리드를 빼앗기는 상황이 닥칠 수 있었습니다. 2이닝 연속 실점한 이재학을 4회초가 종료될 때까지 맡긴 류중일 감독의 투수 교체는 늦었습니다.
호투 이태양, 분위기 바꿨다
4회말 1사 후 민병헌의 볼넷 출루가 다시 무위에 그쳤지만 5회초부터 구원 등판한 이태양이 경기 흐름을 다잡았습니다. 1사 후 포수 강민호의 포크볼 블로킹 실패로 인한 자이위엔카이의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이 빌미가 되어 2사 2루의 위기를 맞았지만 탕웨이를 2루수 땅볼로 처리해 역전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이태양은 1피안타 무실점으로 중국 타선을 잠재워 한국의 결승 진출에 가장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태양이 8회초까지 던지며 4이닝을 소화해 동료 투수들을 아낀 덕분에 류중일 감독은 대부분의 불펜 투수들을 내일 결승 대만전에 맞춰 비축할 수 있었습니다.
도루로 활로 개척
이태양이 마운드에 안정을 가져오자 한국은 도루로 활로를 개척했습니다. 5회말 안타로 출루한 박병호가 1사 후 2루 도루를 시도해 성공시킨 뒤 폭투로 3루에 진출하자 나성범이 중전 적시타를 터뜨려 3:2로 리드를 잡았습니다. 나성범의 적시타는 결승타가 되었습니다.
나성범은 황재균 타석 초구에 2루 도루를 시도했고 포수 왕웨이의 2루 송구가 뒤로 빠지자 홈까지 파고들어 4:2로 벌렸습니다. 하지만 계속된 2사 1, 2루 기회에서 민병헌의 유격수 땅볼로 추가 득점에는 실패했습니다. 5회말 2개의 도루 시도가 모두 득점과 연결되었는데 보다 빠른 이닝에서 도루를 시도해 상대를 흔들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6회말 손아섭과 김현수의 연속 볼넷으로 무사 1, 2루가 되자 박병호가 세 번째 투수 류시아의 낮은 초구를 퍼 올려 좌중간 담장을 훌쩍 넘기는 3점 홈런으로 승부에 쐐기를 박았습니다. 처음으로 선발된 A급 대표팀에서 과연 4번 타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지 의문시되던 박병호가 우려를 일소하는 통렬한 홈런이었습니다. 7:2로 벌리며 한국은 승기를 잡았습니다.
부진한 타자들
하지만 추가 득점은 없었습니다. 6회말 2사 만루에서 민병헌이 유격수 땅볼 7회말 2사 1, 2루에서는 나성범이 2루수 뜬공에 그쳤습니다. 8회말에는 선두 타자 황재균이 좌중간 안타로 출루했지만 2루조차 밟지 못하고 이닝이 마감되었습니다.
한국 타선은 2홈런 포함 13안타 10사사구에 상대 실책 2개를 묶어 고작 7득점에 그쳤습니다. 잔루는 무려 14개였습니다. 명백한 졸전이었습니다. 중국 투수들보다 기량이 우위에 있는 대만 투수들을 결승전에서 타자들이 제대로 공략할 수 있을지 의심스러웠습니다. 성급하게 볼을 건드려 플라이 아웃이 많았습니다. 장타를 치겠다는 욕심이 앞선 것은 아닌지 복기가 필요합니다.
김현수, 강민호, 오재원이 무안타로 부진했습니다. 특히 강민호는 블로킹에 실패해 2개의 폭투가 기록되었고 그 중 하나는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으로 더그아웃으로 돌아갈 타자를 살려준 것이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 아직 안타가 없는 등 공수 양면에서 강민호는 심각한 부진을 노출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결승전에서 경험이 부족한 이재원을 선뜻 선발 출전시키기도 쉽지 않습니다. 득점 기회가 왔을 때 강민호가 살리지 못하면 결승전은 어려운 흐름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재원도 24일 대만전 1회말 2점 홈런 이후 안타가 없습니다. 중국 내야진의 협력 플레이 부재로 인한 내야 안타 1개가 있었지만 손아섭도 높은 볼을 반복적으로 건드리며 성급한 모습을 노출했고 타구 질도 좋지 않았습니다.
준결승 중국전이 금메달을 위한 입에 쓴 보약이 될지, 아니면 약점 노출로 인해 결승전 고전의 빌미를 제공할지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타자들이 욕심을 부려 집중력이 떨어질 경우 어려운 경기 흐름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상당합니다.
중국의 선전
두 수 이상 아래로 파악되어 콜드게임이 예상되었던 중국은 의외로 선전했습니다. 타자들은 갖다 맞히는 능력이 있었고 수비도 전반적으로 무난해 어이없는 실책이 적었습니다.
투수들은 변화구 위주의 투구로 타이밍을 빼앗았습니다. 자주 발을 풀어 투구 간격을 길게 가져가며 한국 타자들에 타이밍을 맞춰주지 않으려 노력했습니다. 두 번째 투수 우완 치찌핑은 오버 스로우와 사이드암을 병행하는 변칙 투구로 4회말까지 2.1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습니다. 2008 베이징 올림픽 예선에서도 한국은 중국을 상대로 0:0으로 고전한 끝에 승부치기로 신승한 바 있습니다. 중국 야구의 잠재력은 결코 만만치 않았습니다.
http://twitter.com/tominodijeh
2회말까지 잔루 5개
1회말 2사 후 김현수의 볼넷과 박병호의 유격수 실책으로 2사 1, 2루 기회를 얻었지만 강정호의 좌전 안타에 2루 주자 김현수가 홈에서 넉넉하게 아웃되어 득점 없이 이닝이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이 1회에 득점에 실패한 것은 처음으로 경기가 잘 풀리지 않을 것임을 암시하는 주루사 이닝 종료였습니다.
2회말에는 무사 만루에서 오재원이 풀 카운트 끝에 몸쪽 변화구에 헛스윙 삼진을 당했습니다. 무사 혹은 1사에 주자가 3루에 있는 기회에서 첫 번째 타자가 타점을 얻지 못하면 답답한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사 만루에서 첫 타자 오재원의 삼진 이후 흐름은 역시 우려대로 전개되었습니다. 1사 만루에서 민병헌의 우월 2루타가 터졌지만 1루 주자 강민호까지 무리하게 홈으로 파고든 가운데 2루 주자 황재균이 런다운 끝에 아웃되었습니다.
계속된 2사 만루에서 김현수가 바뀐 투수 치찌핑의 초구를 공략했지만 좌익수 정면으로 향해 추가 득점하지 못했습니다. 2이닝 연속 주루사로 인해 선취 득점에도 불구하고 잔루 5개로 대량 득점에 실패하면서 불길함이 문학구장에 드리워졌습니다.
이재학, 2실점 부진
3회초부터는 선발 이재학이 제구 불안을 노출하면서 접전으로 전개되었습니다. 3회초 1사 후 루이가 높은 직구를 받아쳐 안타로 출루한 뒤 희생 번트로 2루에 진출했습니다. 이어 강민호가 블로킹에 실패해 폭투가 되면서 루이는 3루에 안착하자 취시아오가 복판에 높게 몰린 체인지업을 좌측에 떨어지는 적시 2루타로 연결시켜 1:1 동점이 되었습니다.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한국이 첫 실점과 동시에 첫 동점을 허용하는 순간이었습니다.
3회말 1사 후 강정호의 좌중월 솔로 홈런이 터져 2:1로 다시 리드를 잡았지만 2사 후 황재균의 안타 출루가 무위에 그쳤습니다. 4회초 이재학은 선두 타자 왕웨이에 높은 직구를 넣다 안타를 얻어맞아 위기를 자초했고 계속된 1사 2루에서 양쑨이에게 높은 실투로 인해 적시 2루타를 허용해 2:2 동점이 되었습니다. 우익수 민병헌은 타구를 포구한 뒤 송구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공을 놓치는 실책을 저질러 1사 3루 역전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사진 : 4이닝 4피안타 2실점으로 부진했던 선발 이재학
이재학은 9월 22일 예선 태국전 관전평에서 체인지업의 낙차가 예리하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오늘 경기에서도 체인지업이 3회초 이후부터 떨어지지 않아 가볍게 맞히는 중국 타자들의 방망이에 맞아나가기 시작했습니다. 4회초 1사 후 양쑨이의 적시 2루타와 민병헌의 실책으로 1사 3루 역전 위기가 되었을 때가 투수 교체의 적기였습니다. 다행히 역전으로는 연결되지 않았지만 이번 대회 들어 처음으로 상대에 리드를 빼앗기는 상황이 닥칠 수 있었습니다. 2이닝 연속 실점한 이재학을 4회초가 종료될 때까지 맡긴 류중일 감독의 투수 교체는 늦었습니다.
호투 이태양, 분위기 바꿨다
4회말 1사 후 민병헌의 볼넷 출루가 다시 무위에 그쳤지만 5회초부터 구원 등판한 이태양이 경기 흐름을 다잡았습니다. 1사 후 포수 강민호의 포크볼 블로킹 실패로 인한 자이위엔카이의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이 빌미가 되어 2사 2루의 위기를 맞았지만 탕웨이를 2루수 땅볼로 처리해 역전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이태양은 1피안타 무실점으로 중국 타선을 잠재워 한국의 결승 진출에 가장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태양이 8회초까지 던지며 4이닝을 소화해 동료 투수들을 아낀 덕분에 류중일 감독은 대부분의 불펜 투수들을 내일 결승 대만전에 맞춰 비축할 수 있었습니다.
도루로 활로 개척
이태양이 마운드에 안정을 가져오자 한국은 도루로 활로를 개척했습니다. 5회말 안타로 출루한 박병호가 1사 후 2루 도루를 시도해 성공시킨 뒤 폭투로 3루에 진출하자 나성범이 중전 적시타를 터뜨려 3:2로 리드를 잡았습니다. 나성범의 적시타는 결승타가 되었습니다.
나성범은 황재균 타석 초구에 2루 도루를 시도했고 포수 왕웨이의 2루 송구가 뒤로 빠지자 홈까지 파고들어 4:2로 벌렸습니다. 하지만 계속된 2사 1, 2루 기회에서 민병헌의 유격수 땅볼로 추가 득점에는 실패했습니다. 5회말 2개의 도루 시도가 모두 득점과 연결되었는데 보다 빠른 이닝에서 도루를 시도해 상대를 흔들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사진 : 6회말 좌중월 3점 홈런을 터뜨린 박병호
6회말 손아섭과 김현수의 연속 볼넷으로 무사 1, 2루가 되자 박병호가 세 번째 투수 류시아의 낮은 초구를 퍼 올려 좌중간 담장을 훌쩍 넘기는 3점 홈런으로 승부에 쐐기를 박았습니다. 처음으로 선발된 A급 대표팀에서 과연 4번 타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지 의문시되던 박병호가 우려를 일소하는 통렬한 홈런이었습니다. 7:2로 벌리며 한국은 승기를 잡았습니다.
부진한 타자들
하지만 추가 득점은 없었습니다. 6회말 2사 만루에서 민병헌이 유격수 땅볼 7회말 2사 1, 2루에서는 나성범이 2루수 뜬공에 그쳤습니다. 8회말에는 선두 타자 황재균이 좌중간 안타로 출루했지만 2루조차 밟지 못하고 이닝이 마감되었습니다.
한국 타선은 2홈런 포함 13안타 10사사구에 상대 실책 2개를 묶어 고작 7득점에 그쳤습니다. 잔루는 무려 14개였습니다. 명백한 졸전이었습니다. 중국 투수들보다 기량이 우위에 있는 대만 투수들을 결승전에서 타자들이 제대로 공략할 수 있을지 의심스러웠습니다. 성급하게 볼을 건드려 플라이 아웃이 많았습니다. 장타를 치겠다는 욕심이 앞선 것은 아닌지 복기가 필요합니다.
김현수, 강민호, 오재원이 무안타로 부진했습니다. 특히 강민호는 블로킹에 실패해 2개의 폭투가 기록되었고 그 중 하나는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으로 더그아웃으로 돌아갈 타자를 살려준 것이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 아직 안타가 없는 등 공수 양면에서 강민호는 심각한 부진을 노출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결승전에서 경험이 부족한 이재원을 선뜻 선발 출전시키기도 쉽지 않습니다. 득점 기회가 왔을 때 강민호가 살리지 못하면 결승전은 어려운 흐름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재원도 24일 대만전 1회말 2점 홈런 이후 안타가 없습니다. 중국 내야진의 협력 플레이 부재로 인한 내야 안타 1개가 있었지만 손아섭도 높은 볼을 반복적으로 건드리며 성급한 모습을 노출했고 타구 질도 좋지 않았습니다.
준결승 중국전이 금메달을 위한 입에 쓴 보약이 될지, 아니면 약점 노출로 인해 결승전 고전의 빌미를 제공할지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타자들이 욕심을 부려 집중력이 떨어질 경우 어려운 경기 흐름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상당합니다.
중국의 선전
두 수 이상 아래로 파악되어 콜드게임이 예상되었던 중국은 의외로 선전했습니다. 타자들은 갖다 맞히는 능력이 있었고 수비도 전반적으로 무난해 어이없는 실책이 적었습니다.
투수들은 변화구 위주의 투구로 타이밍을 빼앗았습니다. 자주 발을 풀어 투구 간격을 길게 가져가며 한국 타자들에 타이밍을 맞춰주지 않으려 노력했습니다. 두 번째 투수 우완 치찌핑은 오버 스로우와 사이드암을 병행하는 변칙 투구로 4회말까지 2.1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습니다. 2008 베이징 올림픽 예선에서도 한국은 중국을 상대로 0:0으로 고전한 끝에 승부치기로 신승한 바 있습니다. 중국 야구의 잠재력은 결코 만만치 않았습니다.
http://twitter.com/tominodijeh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