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포스팅은 ‘500일의 썸머’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마크 웹 감독의 2009년 작 ‘500일의 썸머’는 현란한 편집에 기초한 재기발랄한 로맨틱 코미디이지만 한편으로는 연애의 불확실성과 사랑의 본질을 파고든다는 점에서 인상적입니다. 프리섹스, 혹은 섹스 파트너와 같은 개념이 등장하면서 섹스가 사랑을 입증하지 못하는 복잡한 현대를 대변하는 것이 ‘500일의 썸머’의 두 주인공입니다.
톰(조셉 고든 레빗 분)은 썸머(주이 데샤넬 분)의 부정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을 만나며 섹스까지 했으니 사랑에 빠진 것이라 믿고 있지만 썸머는 섹스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사랑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긋습니다. 연애를 지속하면 언젠가 썸머의 마음까지 완전히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믿었던 톰의 기대는 물거품이 되고 로맨틱 코미디답지 않은 씁쓸한 결말에 도달하는 듯합니다.
개봉 당시 썸머의 애매모호한 태도에 대해 남성 관객들 중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인 이들도 있었습니다만 ‘여자의 마음은 갈대’라는 오래된 문구를 감안하면 여심이란 바로 그런 것입니다.
‘500일의 썸머’의 압권은 사랑을 믿지 않던 썸머가 갑자기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사랑을 믿던 톰은 사랑을 부정하게 된 것입니다. 대조적인 가치관을 지닌 두 주인공의 입장을 대비시키는 것에 머물지 않고 두 주인공의 가치관을 맞바꾼 것입니다. 인식의 역전이 관계의 역전으로 직결된 것입니다. 단순히 썸머에게 버림받은 것보다 톰은 더욱 처참한 신세가 되었습니다. 톰은 다른 어떤 남자도 썸머의 마음을 얻어 진정한 사랑에 이를 것이라고 믿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500일의 썸머’는 완연한 비극으로 마무리되지는 않습니다. 톰이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는 결말로 낙천적인 사랑의 희망을 제시합니다. 동시에 톰은 썸머를 만난 500일 동안 한 단계 정신적으로 성장합니다. 옷차림도 가벼운 캐주얼에서 재취업을 위한 정장 차림으로 성숙해지며 기존의 직업이 부여하는 안정적인 급여를 박차고 꿈을 이루기 위한 새로운 도전에 나섭니다.
톰을 만난 500일 동안 썸머 역시 정신적으로 성숙해졌음은 물론입니다. ‘500일의 썸머’가 톰의 시점에서 썸머를 관찰한 것이기에 썸머의 심리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는 않으나 그녀 역시 톰과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새로운 사랑과의 만남과 결혼을 통해 사랑의 본질에 대해 적지 아니 고민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매력적이지만 전형적인 미남, 미녀보다는 현실적인 외모에 가까운 두 주연 배우가 현대 젊은이의 사랑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을 담아낸 ‘500일의 썸머’는 21세기 초반의 연애 풍속도를 담은 영화로 오랫동안 회자될 듯합니다.
500일의 썸머 -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로 시작해 ‘클로저’로 끝나다
http://twitter.com/tominodijeh

톰(조셉 고든 레빗 분)은 썸머(주이 데샤넬 분)의 부정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을 만나며 섹스까지 했으니 사랑에 빠진 것이라 믿고 있지만 썸머는 섹스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사랑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긋습니다. 연애를 지속하면 언젠가 썸머의 마음까지 완전히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믿었던 톰의 기대는 물거품이 되고 로맨틱 코미디답지 않은 씁쓸한 결말에 도달하는 듯합니다.
개봉 당시 썸머의 애매모호한 태도에 대해 남성 관객들 중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인 이들도 있었습니다만 ‘여자의 마음은 갈대’라는 오래된 문구를 감안하면 여심이란 바로 그런 것입니다.
‘500일의 썸머’의 압권은 사랑을 믿지 않던 썸머가 갑자기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사랑을 믿던 톰은 사랑을 부정하게 된 것입니다. 대조적인 가치관을 지닌 두 주인공의 입장을 대비시키는 것에 머물지 않고 두 주인공의 가치관을 맞바꾼 것입니다. 인식의 역전이 관계의 역전으로 직결된 것입니다. 단순히 썸머에게 버림받은 것보다 톰은 더욱 처참한 신세가 되었습니다. 톰은 다른 어떤 남자도 썸머의 마음을 얻어 진정한 사랑에 이를 것이라고 믿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500일의 썸머’는 완연한 비극으로 마무리되지는 않습니다. 톰이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는 결말로 낙천적인 사랑의 희망을 제시합니다. 동시에 톰은 썸머를 만난 500일 동안 한 단계 정신적으로 성장합니다. 옷차림도 가벼운 캐주얼에서 재취업을 위한 정장 차림으로 성숙해지며 기존의 직업이 부여하는 안정적인 급여를 박차고 꿈을 이루기 위한 새로운 도전에 나섭니다.
톰을 만난 500일 동안 썸머 역시 정신적으로 성숙해졌음은 물론입니다. ‘500일의 썸머’가 톰의 시점에서 썸머를 관찰한 것이기에 썸머의 심리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는 않으나 그녀 역시 톰과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새로운 사랑과의 만남과 결혼을 통해 사랑의 본질에 대해 적지 아니 고민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매력적이지만 전형적인 미남, 미녀보다는 현실적인 외모에 가까운 두 주연 배우가 현대 젊은이의 사랑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을 담아낸 ‘500일의 썸머’는 21세기 초반의 연애 풍속도를 담은 영화로 오랫동안 회자될 듯합니다.
500일의 썸머 -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로 시작해 ‘클로저’로 끝나다
http://twitter.com/tominodijeh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