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의 라인업에서는 부진한 이대형이 2번 타자로 밀리고 박경수가 1번 타자로 올라온 것이 눈길을 끕니다.

어제 경기부터 새롭게 선보인 LG의 라인업 소개 동영상.

LG 선발 김광삼. 5이닝 5피안타 1볼넷 2실점. 비교적 무난한 내용이었습니다.

두산 선발 이현승. 1이닝만 던지며 1피안타 2볼넷으로 2실점한 뒤 물러났습니다.

1회말 박용택의 희생 플라이로 박경수가 득점하며 LG가 선취 득점했습니다.

2회초 볼넷으로 출루한 고영민이 보크로 홈을 밟아 1:1 동점.

3회초 3루타로 출루한 오재원을 김동주가 적시타로 불러들여 두산이 2:1로 역전했습니다.

3회초가 종료된 뒤 잠시 단상에 올라와 인사한 강병욱 전임 응원단장. 현재까지 강병욱 전임 응원단장의 빈자리는 커보입니다.


쌀쌀하고 흐린 날씨에도 불구하고 내야석을 완전히 메운 관중들. 좌석 교체로 인해 외야석이 폐쇄 중임을 감안하면 엄청난 관중수입니다.

양 팀 타선이 많은 잔루를 기록하며 2:1의 점수가 유지되는 소강 상태가 계속되었습니다.

7회말 2사 만루 박경수 타석에서 세 명의 주자가 모두 도루를 시도하는 삼중 도루로 3루 주자 이학준이 홈으로 들어와 2:2 동점이 되었습니다. 1루 주자 김태완이 포수 견제구에 걸린 사이 3루 주자 이학준이 과감하게 홈을 파서 득점에 성공한 것입니다. 만일 이것이 스프링 캠프에서 익힌 약속된 주루 플레이였다면 매우 고급스런 야구를 한 셈입니다.


박경수도 볼넷으로 출루해 2사 만루의 역전 기회가 돌아왔지만 이대형이 투수 땅볼로 물러나며 역전에 실패했습니다. 공수 교대되는 와중에 크게 아쉬워한 이대형은 결국 5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며 10회말 승부치기 상황에서 대타로 교체되었습니다.

8회말 1사 만루의 기회가 서동욱에게 돌아왔지만...

삼진으로 물러났습니다. 오늘 경기에서 서동욱에게 1사 3루의 기회가 두 번 돌아왔지만 타점을 기록하지 못했습니다. 서동욱의 오늘 기록은 3타수 무안타 1볼넷입니다. 최근 부진을 감안하면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

2:2 동점으로 맞선 9회말 선두 타자 김태완의 타구가 좌측 담장을 넘겨 관중석을 맞고 튀어나와 끝내기 홈런이 되어야 했지만 권영철 3루심은 홈런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박종훈 감독을 비롯한 코칭 스태프가 항의해 4심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홈런이 아니라는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고 김태완은 2루에 머물러야 했습니다. 작년 5월 22일 두산전에서 박종훈 감독이 스트라이크 판정에 항의하다 권영철 주심에 퇴장당한 사실을 감안하면 권영철 심판과 LG는 악연이 있는 셈입니다. 김태완의 타구가 오심으로 2루타 처리되면서 LG는 결과적으로 두산에 패했습니다.

9회말 무사 2루의 끝내기 기회를 살리지 못하면서 경기는 연장 승부치기로 돌입.

10회초 1사 1, 3루에서 이원석의 좌전 적시타로 균형을 깨뜨린 두산이 3:2로 앞서갑니다. 3루수 윤진호의 타구 처리가 아쉬웠습니다.

2사 후 임재철의 2타점 싹쓸이 2루타로 5:2로 벌어졌습니다.

10회말 무사 1,2루에서 선두 타자 대타 황선일의 우전 적시타로 5:3.

1사 후 박용택의 중전 적시타로 5:4까지 추격한 LG.

하지만 윤진호와 이진영이 범타로 물러나며 경기는 LG의 1점차 패배로 종료되었습니다. 인사하는 선수단.

경기 종료의 전광판. 양 팀 모두 잔루가 많았습니다.
선발 김광삼을 비롯한 LG의 투수진은 그런대로 호투했으나 타선은 이대형과 서동욱의 부진으로 인해 번번이 기회를 무산시켜 패하고 말았습니다. LG는 두산과의 마지막 2연전에서 모두 1점차로 패배하면서 7승 6패로 시범경기를 마무리했습니다.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