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트론 : 새로운 시작 - 서자 넘지 못한 지루한 적자 영화

가상현실 세계 ‘그리드’에 몰두하던 중 갑자기 실종된 아버지 케빈(제프 브리지스 분)을 그리워하던 샘(개럿 헤드룬드 분)은 성인으로 자란 어느 날 아버지의 절친한 친구 앨런(브루스 박스레이트너 분)으로부터 아버지가 자신을 호출한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습니다. 그리드에 들어간 샘은 아버지와 재회하지만 자신을 반가워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미심쩍습니다.

당시로서는 최첨단이었던 CG 기술을 활용해 화제가 되었던 1982년 작 ‘트론’의 28년 만의 후속편 ‘트론 : 새로운 시작’(이하 ‘새로운 시작’)은 전편의 두 주인공이 조연으로 재등장하며 디지털이 일반화된 신세대를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아바타’ 이후 대세가 된 3D를 전면에 내세웁니다. 공간적 배경인 가상세계에 현실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작’이 3D를취한 것은 탁월하면서도 당연한 선택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오프닝으로부터 25분 후에 등장하는 그리드의 3D는 ‘아바타’와 같은 공간 감각을 창조하는데 실패합니다. 명암조차 희미한 온통 시커먼 화면에 몇 개의 형광색 피사체로 공간 감각을 부여한다는 시도 자체가 무리였습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나 ‘레지던트 이블 4’의 밋밋한 3D와의 차별화에 실패합니다.

어차피 최근 영화들이 엇비슷한 수준의 CG를 활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새로운 시작’은 영화의 기본이자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서사에 승부를 걸어야 했는데, 단조롭기 짝이 없습니다. 전반적인 서사와 막판 반전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러닝 타임이 125분이나 되지만 서사는 너무나 허전합니다. 사소한 것이지만 그리드로 들어가기 위해 샘이 어떻게 패스워드를 풀었는지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합니다.

‘변형된 아버지’가 적의 우두머리라는 설정은 ‘스타워즈’를 연상시킵니다. 기본적인 등장인물 간의 관계는 ‘매트릭스’ 3부작과 닮았습니다. 현실과 가상으로 이원화된 세계, 가상세계가 현실에 미치는 강력한 파급력, 세계를 구원하는 주인공(샘 - 네오), 그를 전적으로 신뢰하며 돕는 여성 캐릭터(쿠오라 - 트리니티), 의존할 수 있는 부성(케빈 - 모피어스), 복제된 악역(클루 - 스미스), 그리고 타락한 클럽 주인(주스 - 메로빈지언)까지 상당히 비슷합니다. 애당초 ‘매트릭스’가 다양한 SF 영화들의 오마쥬로 가득한 작품으로 ‘트론’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리 없지만, ‘새로운 시작’이 ‘트론’의 적자임에도 불구하고 ‘서자’ ‘매트릭스’를 빼닮은 것은 매우 아쉽습니다. ‘트론’을 상징했던 바이크 액션은 ‘새로운 시작’에서 ‘스피드 레이서’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에 그칩니다. ‘새로운 시작’은 워쇼스키 형제 영화의 아류작의 혐의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새로운 시작’이 ‘트론’의 오랜 팬들에게는 값진 선물임에는 분명하나, 획기적 시도가 빛났던 ‘트론’과 달리 ‘새로운 시작’에서 독창성이나 새로운 시도를 찾아볼 수 없다는 한계는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시커먼 배경 일색의 밋밋한 3D와 판에 박힌 서사, 독창성이 결여된 설정으로 인해 졸음을 부채질하는 ‘새로운 시작’에서 유일하게 빛나는 것은 다프트펑크의 테크노 음악입니다. 다프트펑크는 클럽 장면에 직접 출연해 ‘트론’이 개봉된 1980년대 초반을 연상시키는 복고적이면서도 몽환적이며 경쾌한 음악으로 지루한 영상을 그나마 상쇄시킵니다. OST 앨범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저니의 ‘Separate Ways’와 유리스믹스의 ‘Sweet Dreams’가 오락실 장면에 삽입되어 ‘트론’이 개봉되었던 1980년대 초반의 향수에 젖게 합니다.


덧글

  • oIHLo 2011/01/04 10:39 #

    솔직히 오프닝크레딧은 입 딱 벌리면서 봤습니다.
    3D로 재현된 그리드에 다프트 펑크의 음악까지 맞물리니 천국이 따로 없더라고요.


    하지만 그게 끝이었습니다.
  • jerom 2011/01/04 14:24 # 삭제

    1980년대 유사 애니메이션이 있습니다. 전자오락실에서 게임하다가 게임속으로 빨려들어가서 게임 프로그램 대신 싸우면서 트론에 나오는 유사 전함을 마지막으로 보스 죽이고 현실세계로 돌아오는... 전함이 하도 같아서 이게 그거보고 바꿔서 만든거 같은 느낌이 강하더군요.
  • 천마 2011/01/04 17:06 # 삭제

    "콤퓨터 핵전함 폭파대작전"(개봉당시 제목입니다^^)을 말하시는 것 같습니다. 게임광인 인물들을 컴퓨터세계로 끌어들여 강제로 게임을 시키며 현실세계의 컴퓨터를 장악하여 세계를 지배하려는 악당이 나오는 만화영화였죠.

    트론의 설정을 그대로 베낀 작품이지만 나름의 오리지날부분도 있는 작품이었습니다. 저는 재미있게 본 작품입니다만 트론의 설정을 무비판적으로 도입하다보니 스토리가 좀 앞뒤가 안맞는게 문제였습니다. 무엇보다 게이머들을 왜 컴퓨터세상으로 끌어들이고 괴롭히는지 그리고 그게 컴퓨터세상 정복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 전혀 설명이 없더군요.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