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서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LG 신 연봉제의 이상한 논리 야구

프로야구 LG 트윈스의 신 연봉제가 스토브 리그를 달구고 있습니다. 신인급 선수의 억대 연봉으로의 인상 방침과 미미한 활약을 보인 고참 선수들의 대폭 삭감이 화제입니다. 하지만 개별 선수들의 인상과 삭감보다 더욱 중요한 문제가 LG 신연봉제에 숨겨져 있지만 논란이 되지 않는 것이 이상합니다.

8년 연속 포스트 시즌 진출 실패로 8개 구단 중 가장 오랫동안 가을 야구 무대를 밟아보지 못한 LG가 신 연봉제를 도입하면서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한 것은 바로 ‘팀 승리 기여도’를 대폭 중시하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다년 간 부진했던 팀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수 개개인의 기록보다는 팀 승리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신 연봉제는 팀이 많은 승리를 거둘수록 선수단 전체의 연봉이 상승한다는 점에서 얼핏 타당한 제도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LG의 신 연봉제는 최강 팀조차 한 시즌 동안 전체의 1/3에 해당하는 경기는 패배한다는 불변의 진리를 감안하지 않았습니다. 만일 선발 투수가 등판해 초반 대량실점하며 강판될 경우 LG 선수들은 최선을 다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차피 패배할 경기에서 최선을 다 해봤자 연봉 고과에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꿔 말하면 한 시즌 133경기 중 약 1/3에 해당하는 40여 경기는 고과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프로야구 선수들이야말로 그 누구보다 한 시즌에 최소 1/3은 패배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말해 대충 던지고 대충 휘두르고 대충 수비해서 실책을 범해도 고과에 반영되는 비율이 미미하다면 최선을 다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리그 최다 실책을 범하고도 승리한 경기에서의 기여도가 크다는 이유로 대폭 연봉 상승을 보장받은 모 선수를 보며 내년 시즌 LG 선수들이 어떤 마음가짐으로 그라운드에 나설지 예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아마도 빨리 경기를 마치고 싶은 심정으로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LG 선수를 찾아보기 어려울 것입니다.

(사진 : 신 연봉제로 인해 LG 팬들은 2011 시즌 위와 같은 참패를 보다 자주 관전하게 될 지도 모릅니다. 5월 1일 문학 SK전 종료 후 전광판.)


초반 대량 실점을 하더라도 9회 마지막 아웃 카운트를 잡을 때까지 승부를 장담할 수 없는 것이 야구입니다. 아무리 초반에 많은 점수를 내줘도 중반 이후에 반격하며 짜릿한 대역전극을 연출하는 경기 또한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것이 시간제한 없는 야구의 매력입니다. 그러나 초반 대량 실점했다는 이유로 고과에 반영되지 않아 느슨한 플레이를 한다면 더 많은 점수를 내줄 것이고 중후반 역전은 요원할 것입니다.

주전 선수들이 느슨한 경기를 하면 주전에 편입되기를 원하는 후보 선수들을 교체 투입하여 연봉 고과 혜택은 받지 못해도 감독의 눈에 들 기회를 부여하면 되는 것 아니냐는 반론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야수의 경우 교체 출전하여 감독의 눈에 들면 곧바로 다음 날 선발 출장의 기회를 얻을 수 있지만, 투수의 경우 선발 로테이션이나 필승 계투조에 포함되지 못한 1.5군급 선수들이 초반에 선발 투수가 무너진 경기에서 많은 이닝을 소화하며 호투해도 고과에도 반영되지 못하고 며칠 동안 등판할 수 없기에 순전히 헛심만 쓴 꼴이 됩니다. 그 투수가 다른 투수들이 승리하는 경기에 등판할 수 있도록 아끼고 자신을 희생하며 궁극적으로 팀 승리에 기여한 사실은 신 연봉제에는 반영되지 않는 것입니다.

어차피 패할 수밖에 없는 경기가 한 시즌 동안의 1/3에 해당한다면, 어떻게 패배하느냐도 매우 중요합니다. 끝까지 상대 팀을 괴롭히며 물고 늘어지지 않고 손쉽게 승리를 헌납하면, 상대 팀은 필승 계투조를 아끼고 주전 야수들의 체력을 안배하며 다음 날 경기에 LG를 상대로 더욱 좋은 경기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어제 쉽게 패한 LG는 전력을 비축한 상대에 맞서 오늘도 패하며 연패로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쉽게 패하는 팀의 분위기가 어떨지는 두말하면 잔소리입니다.

신 연봉제로 인해 LG가 쉽게 패하는 경기가 늘어난다면 비싼 돈을 내고 야구장을 찾은 팬들과 귀중한 시간을 들여 TV와 인터넷으로 생중계를 지켜보는 팬들이 느낄 배신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설령 패하더라도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선수들의 납득할 만한 플레이를 보고 싶은 것이 팬들의 바람입니다. 매 경기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선전이야말로 프로야구 선수의 팬들에 대한 의무와 예의입니다. 하지만 팬들은 2011년 LG에 짜릿한 역전극은커녕 최선을 다하는 경기조차 요구하기 어려워질 지도 모릅니다.


덧글

  • 프랑스혁명군 2010/12/25 09:48 #

    증말 이놈의 프런트.;;; 정이 안 갑니다.;;
  • 아싸호랑이 2010/12/25 10:06 #

    승리하면 조금 배울 수 있고 패배하면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다.
    -크리스티 매튜슨-

    패배하는 경기에서도 얻어가는 것이 있는 연봉고과가 되면 좋으련만.
  • 여강여호 2010/12/25 10:56 # 삭제

    날카로운 분석입니다. 연봉은 늘 선수들이 최선의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자극제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질 못하네요.....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따뜻한 크리스마스 보내십시오
  • 한빈翰彬 2010/12/25 13:01 #

    리그전은 어떻게 이기냐보다 어떻게 지느냐가 더 중요한데 정말로 이기는 경기에서의 고과만을 반영하기로 했다면 프런트의 정신상태를 의심해봐야 할 듯 합니다.
  • 어제만난슈팅스타 2010/12/25 15:18 #

    죄송하지만 엘지의 신 연봉 산정 시스템에 대해서 다소 잘못된 정보를 갖고 글을 쓰신 듯 하여 댓글 남깁니다.
    이번에 엘지가 도입한 연봉산정 시스템은 WAR이라고 알려진 세이버메트릭스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경기 하나하나의 단위로 선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마다 선수가 펼친 플레이 하나하나를 중심으로 선수를 평가합니다. 그것이 이기는 경기일 수도 있고 지는 경기일수도 있을텐데요, 선수가 베이스에 한번이라도 더 나가고 한번이라도 더 홈런을 치면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출루나 장타뿐만 아니라 플라이 상황에서 한 베이스라도 더 나가고, 조금이라도 더 열정적인 수비를 하고, 번트를 열심히 대는 것 역시 주루/수비/팀배팅이라는 지표를 통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어제만난슈팅스타 2010/12/25 15:27 #

    해당 기사 역시 추상적인 '팀 승리 기여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지만 기사 내용 어디에서도 '승리하는 경기에서만의 선수의 모습을 평가한다'는 구절은 없습니다.

    WAR이 높은 선수가 많을수록 그 팀 역시 많이 승리할 개연성이 큽니다. 반대로 어떤 팀이 이긴다는건 WAR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정도로 잘 하는 선수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기도 하고요.
  • 어제만난슈팅스타 2010/12/25 15:21 #

    마찬가지로 오지환의 연봉 상승 역시 승리한 경기에서의 기여도가 커서가 아니라 오지환이 시즌동안 꾸준히 열심히 플레이를 했기에 가능했던 일입니다.

    이번 시즌 오지환의 WAR은 엘지 선수들 가운데서도 4위이며 리그 전체 유격수들 가운데서도 선두를 다투는 수준입니다. 수비는 최악 수준이지만 뛰어난 장타력뿐만 아니라 팀배팅/주루/도루 면에서 규정타석을 채운 선수들 가운데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정도로 성실한 플레이를 펼쳤기 때문에 WAR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엘지가 이기는 경기이건 지는 경기이건간에 오지환이 그렇게 열심히 번트를 대고 팀배팅을 하고 한 베이스라도 더 진루했기 때문에 엘지의 승리 가능성이 더 높아졌음은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 어제만난슈팅스타 2010/12/25 15:29 #

    이번 엘지의 신 연봉협상 고과제도에 대해서 엘지팬분의 글과 제 글을 참고용으로 링크해봅니다.

    http://garou.egloos.com/5396261

    http://timeflieslikeanarrow.egloos.com/2654157


    WAR이라는 세이버메트릭스 지표에 대한 FreeRedbird님의 설명 글 역시 따로 링크하겠습니다.

    http://birdsnest.tistory.com/141
  • 어제만난슈팅스타 2010/12/25 15:36 #

    물론 아직까지 엘지트윈스 측에서 '팀 승리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어떤 지표를 사용하였는지 구체적으로 밝혔거나 언론을 통해서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제가 엘지트윈스 측에서 사용한 지표가 WAR이라 추측한 것은 http://yagoo.tistory.com/8190 해당 포스트를 참고하였고 현재 KBO에서 데이터화가 가장 용이한 승리기여도 지표가 WAR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실제로는 엘지가 WPA나 WS와 같은 다른 팀 승리 기여도 평가 지표를 활용할 수도 있었겠지요. 어쨌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세이버메트릭스 지표들은 '승리한 경기에서만의 선수의 모습'만을 평가할 정도로 미련한 지표들은 아닙니다.
  • dabb 2010/12/25 19:27 #

    응원팀은 아니지만 디제님의 야구포스트를 즐겨보고 있습니다.
    차분하고 분석적인 리뷰가 좋고, 저간에 팀에 대한 애정이 듬뿍 담긴 포스팅이라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고과 (전경기를 대상으로 하는) 50% + "LG가 이긴 경기만에서의" 고과 50%
    위와 같이 LG가 발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과의 베이스가 WAR인지 WS인지 밝히지는 않았습니다만, 아마 지표 하나로 판정하지는 않겠죠.
    LG측에서는 진경기까지 포함한 전체고과가 50%라서 큰 문제가 안 된다고 밝힌 것 같기는 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은
    100% 이간 경기 고과만으로 판정하는 건 당연히 말도 안 되고
    50%도 문제가 많아서 얼마 못 가서 수정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 어제만난슈팅스타 2010/12/27 09:55 #

    약간 뒷북이기는 하지만 이런저런 의문점이 생기네요. 혹시 엘지 구단측에서 그렇게 밝혔다는 구체적인 언론 보도나 발표를 볼 수 있을까요? 디제님이 글에서 써주신 대로라면 엘지 프런트측의 정책은 정말 잘못된 것입니다. 근데 그렇게 비판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밝혀놓은 것이 있어야 할텐데, 그런 레퍼런스가 없어요.

    게다가 dabb님께서 설명해 주신 부분도 마찬가지로 이해가 안 갑니다. WAR이나 WS는 '이긴 경기에서의 WAR'이라는 형태로 구분해서 다룰 수 있는 지표가 아니에요. 기본적으로 누적적인 지표이고 '평균'의 개념을 전제하고 있는 지표들이라 시즌 전체의 플레이를 놓고 평가하는 지표이지 경기 하나하나별로 나눌 수 없는 지표입니다. WAR에서 비교대상으로 삼는 Replacement Level의 선수가 실재하는게 아닌데 어떻게 '이긴 경기'만을 놓고 비교를 하겠습니까.

    WPA의 경우 각 경기마다 구분이 가능합니다만, 구단 입장에서 저 지표를 도입했을 때 굳이 이기는 경기의 WPA만을 고려할 이유가 없어요. 이 지표는 이긴 경기에서의 영웅이 누구인지 잘 가리는 지표이기도 하지만 진 경기에서 역적이 누군지 가리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구단 입장에선 역적질한 놈 연봉을 당연히 까야 하고 결국 진 경기에서의 지표를 포함시키는게 당연합니다.

    사실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이긴 경기'와 '진 경기'를 구분해서 다루는게 유의미한 지표는 딱 하나밖에 없습니다. 승수가 그것이죠. 승수라는 쓸데없는 지표를 빼면 모든 야구 통계지표는 그런 구분을 하지 않습니다. 통계란 명확한 인과관계와 이유가 있어야 층화를 해서 표집을 하거나 따로 다루는 것인데, 야구에서 저런식의 구분은 통계적 유의성이 별로 없죠. 그렇다면 엘지트윈스 구단측은 도대체 무슨 지표를 갖고 '이긴 경기'의 활약만을 반영할까요?
  • dabb 2010/12/27 11:58 #

    꽤 많은 기사에서 LG가 50%(전체 고과) + 50% (이긴 경기 고과)로 한다고 보도했습니다.

    하나만 링크하죠.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011301936093&sec_id=510201&pt=nv

    이 기사에서는 단순히 WS로 고과를 평가하는 것 같이 썼는데 그건 슈팅스타님 말씀처럼 말이 안 되구요.. 하지만 "이긴경기만을" 대상으로 별도의 고과를 매겨서 그걸 50% 반영한다는 것은 사실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 아루마루 2010/12/25 19:47 # 삭제

    만약 디제이님이 말씀하신대로 신연봉제가
    악영향을 미친다면...2011년은 그야말로 암울한 한해가
    되겠네요....벌써부터 걱정이 되기 시작하네요..ㅜㅜ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