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스타쉽 트루퍼스 - 월남전 빗댄 저주받은 SF 대작 영화

고등학생 조니(캐스퍼 반 디엔 분)는 여자 친구 카르멘(데니스 리차즈 분)을 따라, 클렌다투 의 벌레 외계인과 싸우기 위한 연합군에 입대합니다. 공군 장교로 입대한 카르멘과 헤어져 육군 보병에 자원한 조니는 혹독한 훈련 과정을 이겨내고 실전에 투입됩니다.

로버트 A. 하인라인의 걸작 SF 소설을 영화화한 1997년 작 ‘스타쉽 트루퍼스’는, 폴 버호벤의 연출작답게 기괴한 작품입니다. 우선 그의 전작 ‘로보캅’과 ‘토탈 리콜’과의 유사점 곳곳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미래상을 가상의 뉴스 화면과 CF를 활용해 제시한 장면이나 사지가 절단되고 유혈이 낭자한 고어 장면이 그렇습니다. 폴 버호벤은 전작들에서 인명이 경시되는 현실을 고발하며 인간성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를 견지했는데, 무수한 군인들이 전투에서 사지가 절단당하며 죽어가는 ‘스타쉽 트루퍼스’ 또한 예외가 아닙니다. 연합군의 육군 병사들이 착용하는 헬멧은 로보캅의 헬멧과 닮았고, 조니가 정신을 잃은 뒤 화면에 노이즈가 번진 후 깨어나는 1인칭 시점의 장면은 머피의 죽음으로 노이즈 화면이 삽입된 후 로보캅으로의 부활 장면과 유사합니다.

‘스타쉽 트루퍼스’의 미래는 암울합니다. 군 복무를 마쳐야만 시민권을 얻고 투표에 참여할 수 있으며, 지구 연합 정부를 장악하고 있는 것은 군인입니다. 언론은 전쟁의 정당성을 끈임 없이 시민들에게 주입합니다. 전쟁에 반대는커녕 의문조차 제기하는 이 없습니다. 연합군의 군복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나치의 그것을 빼닮았습니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입대를 권하고, 엘리트는 입대하여 좋은 처우를 보장받으며, 대학 진학을 원하는 고교생은 보이지 않습니다. 병영 국가에 ‘시민’은 있지만 ‘민주주의’는 없습니다.

적을 감정 이입이 불가능한 ‘벌레’로 설정한 원작자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우파적 주제 의식을, 폴 버호벤은 충실히 재현하는 듯하면서 조소하는 것으로 군사 독재 및 전체주의를 비판하며 1959년 출간된 원작 소설에는 포함될 수 없었던 월남전에 대한 은유를 삽입합니다. (로버트 A. 하인라인은 미국의 월남전 참전을 지지한 바 있습니다.) 멋모르고 입대해 부당한 전쟁을 즐기려 했던 소년이 엄혹한 훈련을 거쳐 실전에 투입되어 동료를 잃는 과정은 월남전 영화의 전형적인 서사입니다. 하지만 클렌다투의 외계인, 즉 벌레에게도 지능이 있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암시하며 외계인에 대한 침략과 무차별 학살을 즐기는 지구인에 대해 의구심을 자아내도록 연출합니다. 외계인의 우두머리인 두뇌 벌레의 입은 여성의 성기와 닮았는데, 두뇌 벌레를 생포한 후 고문 기구를 입에 쑤셔 넣는 장면은, 논란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일부 화면을 가린 것인지 알 수 없으나, 도리어 모자이크 처리된 가학적인 포르노를 연상시킵니다.

흥미로운 것은 영화 초반의 공간적 배경이 부에노스아이레스인데, 현재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지만, 극중에서는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됩니다. 헐리우드 영화이기에 당연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뉴욕이나 LA가 아닌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배경으로 영어를 사용하도록 설정한 것은 팍스 아메리카나 혹은 미국 중심의 세계화에 대한 풍자로 볼 수 있습니다.

‘스타쉽 트루퍼스’는 엄청난 제작비가 투입된 대작이지만 흥행에는 참패했습니다. 그 이유로 몇 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 우선 원작의 상징과도 같은 파워드 슈트(강화복)을 삭제하여 흥미를 반감시켰습니다. ‘기동전사 건담’을 비롯해 무수한 SF 작품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파워드 슈츠가 배제되면서 관객들이 기대했던 힘 있는 액션보다는, 파워드 슈트가 없어 무방비로 노출된 보병의 신체가 절단당하는 고어가 강조되었습니다. 따라서 유머와 고어, 멜로가 뒤얽혀 서사가 일관성을 잃고 감정선이 뒤죽박죽되었습니다. 이를테면 디지(디나 메이어 분)가 탱커 버그의 입 속에 수류탄을 명중시키는 장난스런 연출 직후 아라크니드의 공격에 무참히 살해되는 장면이나, 잰더(패트릭 멀둔 분)가 참혹하게 전사한 직후 잰더와 연인 관계였던 카르멘이 조니와 재회해 감정을 확인하는 장면 등은 관객으로 하여금 어떻게 감정을 이입하며 영화를 관람해야 하는지 당혹스럽게 합니다. 학원 연애물에서 출발해 전쟁 고어물로 갑작스레 전환된 서사 구조와 종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마무리된 미진한 결말 또한 약점입니다. 애당초 폴 버호벤이 속편을 연출하지 않는 감독이기는 하지만, 흥행 참패로 인해 ‘스타쉽 트루퍼스’의 속편은 B급 저예산 영화로 전락했습니다. 폴 버호벤 역시 ‘스타쉽 트루퍼스’ 이후 2000년대에 접어들어 한 번도 블록버스터를 연출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괴함이야말로 진정한 매력입니다. 애당초 SF가 순수 문학과 달리 풍부한 상상력과 비쥬류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현실 비판에 앞장서 왔으니, 기괴함으로 전체주의와 인명 경시를 고발한 ‘스타쉽 트루퍼스’야 말로 SF 본연에 충실한 영화였던 것입니다. 1997년 작으로 CG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아 아날로그 SF에 대한 향수를 일깨우지만, 동시에 현 시점에서 다시 봐도 특수 효과에 어색함이 없는 것 또한 장점입니다. 다수의 지지를 얻지 못했으나 ‘스타쉽 트루퍼스’는 아날로그의 흔적이 남은 마지막 SF 대작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1997년 당시 한국에서도 상당한 흥행을 기대했는지, 피카디리(지금은 롯데시네마에 흡수) 입구에 거대한 탱커 버그 모형을 전시하고, 연합군 보병으로 코스프레한 행사 인원이 극장 입구를 지켰으며, 당시에는 드물었던 주연 배우(캐스퍼 반 디엔)의 내한 무대 인사까지 포함된 성대한 유료 시사회까지 열렸지만, 역시 흥행 성적은 신통치 않았습니다. 이후 캐스퍼 반 디엔은 ‘슬리피 할로우’의 조연 외에는 이렇다할 출연작 없이 TV 드라마를 전전하고 있고, ‘천재 소년 두기’의 이미지를 재활용한 칼 역의 닐 패트릭 해리스 역시 캐스퍼 반 디엔과 비슷한 길을 걷고 있습니다. 그나마 꾸준히 필모그래피를 쌓은 것이 데니스 리차즈이지만, 출연작보다는 찰리 쉰과의 결혼과 이혼으로 더 유명해지게 됩니다.

로보캅 - 풍부한 텍스트, 감동의 오락영화


덧글

  • 시무언 2010/11/19 12:52 # 삭제

    몰랐는데 원작에선 주인공이 필리핀인더군요.
  • 지나가던과객 2010/11/19 14:14 # 삭제

    원작 소설과 비교하면 욕 먹을만 하지만, 영화 자체만으로는 재미있습니다.
    특히 전체주의를 풍자하는 내용때문에 더 재미가 있죠.
  • 소드피시 2010/11/19 14:58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하인라인은 2차대전 참전자고 미국의 자원입대 현실을 미루어보면 그가 의도한 민주주의 시민의 권리와 의무가 어떤 관계인지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하인라인은 그가 쓴 다양한 소설 속에서 2차대전 앞뒤로 살아온 보편적인 백인 미국인이 인식하는 지극히 미국적인 시민 사회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스타쉽 트루퍼스'로 단순히 그가 우파라고 불리기엔 억울하죠. 반대로 그가 쓴 다른 소설인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은 지극히 좌파적인 그림을 그려내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이것도 엄밀히 반제국주의나 뭐 그런 것은 아닌 거 같고, 그저 미국독립전쟁의 우주판 같아요. ㅋ

  • 大望 2010/11/19 16:06 #

    원작도 읽지 않았지만 영화는 재미있게 본 기억이 납니다. 일단 감독이 폴버호벤이라서...^^
  • 헐.; 2010/11/19 16:33 # 삭제

    정말 재미있게 본 영화인데 흥행에서 그렇게 참패했다니 첨 알았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 풍자가 있었다니 신기하네요 ^^
  • 아노말로칼리스 2010/11/19 16:34 #

    이 영화가 나온 몇년후 이라크, 아프간전이 터졌고,
    그 후 다시 보니 이 영화가 가진 놀라운 식견-군국주의, 제국주의화 하는 미국에 대한 조롱과 풍자-가 더 가슴에 와닿더군요.

    어찌보면 이 영화는 정말 기괴한 방식으로 시대를 반 발자국정도 앞서간건지도 모르지요.
  • zzz 2010/11/19 18:47 # 삭제

    2편 마지막 대머리 대사가 인상적임. 얼릉 커라 아기야 네가 어서 새로운 희생물이 되주렴^^. 이거보고 뿜음
  • kimpd 2010/11/19 19:50 # 삭제

    글이 참 재밌네요...
    읽는 맛이 감칠납니다
    저주받은 ㅎㅎㅎ
  • ARX08 2010/11/19 21:44 #

    좋은글 감사합니다.
  • 카방글 2010/11/20 00:41 #

    폴 버호벤이 이걸 속편으로 만든건가요?
  • 디제 2010/11/20 01:14 #

    폴 버호벤의 1997년 작 '스타쉽 트루퍼스'는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원작 소설을 처음으로 영화화한 작품입니다.

    2004년과 2008년 2편과 3편이 제작되었지만, 폴 버호벤과는 무관한 B급 영화로 보시면 됩니다...

  • 1250 2010/11/20 01:20 # 삭제

    전 그저 지루하기만 했어요.
    풍자니 뭐니 따지기 전에, 명색이 군인인데 이렇다 할 분대전술도 없이 그저 어택땅!!!이 전부...
    바퀴벌레들에게 소총질하는 게 전부더라고요.
    거대한 우주 항선 타고 워프하는 시대에 금속 총탄을 사용한다는 것도 우습고 말입니다.
  • 지녀 2010/11/20 01:24 #

    ...스타크레프트때문에 더 유명해진 전설의 명작이랄까요...
    개인적으로는 재미있게 봤습니다
  • 닐 패트릭 해리스 2010/11/20 01:27 # 삭제

    닐 패트릭 해리스는 다행히 몇 년 전부터 인기 미드 'how i met your mother'에서 괜찮은 역을 맡아 날라다니고 있습니다 ㅎㅎ
  • deepthroat 2010/11/20 01:47 #

    바니 The Legendary 스틴슨!!!
  • Dead_Man 2010/11/20 03:19 #

    그거보다 해롤드앤 쿠마에서의 포스가 쩔어줬죠
  • deepthroat 2010/11/20 01:46 #

    파워드수트만 나왔어도!!!!
  • Dead_Man 2010/11/20 03:18 #

    스타쉽 트루퍼스는 군국주의 찬양의 원작을 까는 내용입니다.
  • vermin 2010/11/20 10:32 #

    아 로버트 하인라인씨 죄송합니다
  • 無限의主人 2010/11/20 17:40 #

    해리스는 아직 건재합니다
  • barem 2010/11/22 09:04 # 삭제

    이건 무삭제판이 진리...ㅋㅋ
  • 목성소년 2010/11/24 14:58 #

    오래 전에 봐서 기억은 잘 안나는데, 왜 갑자기 벌레 사는 행성 처들어가서 쏴죽이지 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기억이 맞다면 '인간'이 먼저 그 행성에 쳐들어갔던것 같기도 하고 -_-;; 기억이 잘 안나네요. 언제나 처럼 잘 보고 갑니다!
  • zzincom 2011/01/18 19:58 # 삭제

    군국주의에 대한 영화 인 듯 하지만 자세히 보면 까는 영화... ㅎㅎ
    싸울 상대가 없어져서 그런지 인간들이 먼저 행성으로 쳐들어가고 두뇌가 없는 벌레라 오판해서 승리를 자신하며 전술도 없이 갔다가 전멸해버리는... 마치 월남전 때와 같네요.
    버그에 대해 설명 할 때 별 거 아닌 것처럼 소총으로 죽이는데 그 이론이 얼마나 잘못 되었는가에 대해 나온 것이 그 수많은 보병이 전멸해 버린 클렌다투 전투...
    이게 월남전 때 기관총이 달리지 않는 전투기... 즉, 미사일을 맹신하여 기관총을 달지 않아 적 전투기에 타격을 입었던 것과 비슷하게 보이더군요.
  • Godslayer 2011/02/02 15:45 # 삭제

    전 영화 뒤에 폴 버호벤이 부감독으로 다른 사람들과 만든 '러프넥 크로니클'이 더 재미있더군요.
    물론 마지막에 한창 재밌을때 흐지부지 끝나서 매우 아쉽지만 ;;
  • 쇼콜라 2013/01/29 15:20 # 삭제

    이 영화 흥행 참패 아니에요. 1억 달러 투자에 1억 2천만 달러 흥행 한 거으로 나옵니다.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