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서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다크 나이트 IMAX DMR 2D - 조커와 투페이스, 배트맨의 또 다른 자아 영화

IMAX를 통해 ‘다크 나이트’를 두 번째 관람하며, 조커와 투페이스가 배트맨의 또 다른 자아라는 생각이 더욱 굳어졌습니다.

‘다크 나이트’의 첫 번째 포스팅에서 조커가 배트맨의 코스튬을 입은 사람을 처형하는 동영상이 알 카에다를 연상시킨다고 언급했는데, 다시 보니 배트맨과 조커의 관계는 부시와 빈 라덴의 적대적 공생 관계를 연상시켰습니다. 고담 시의 범죄를 응징하기 위해 강력한 폭력을 동원하는 배트맨의 방식이 조커를 부른 것이라는 알프레드(마이클 케인 분)의 대사처럼, 배트맨이 없었다면 조커가 등장하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존재 자체가 아이러니인 배트맨이야말로 진정한 악의 화신일지도 모른다는 역설을 정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두 사람이 폭력을 통해 자신의 방식을 관철한다는 점과 고담시의 시민들로부터 ‘괴물’, 즉 비정상으로 구분된다는 점도 유사합니다. 배트맨은 질서를 추구하고, 조커는 혼돈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대비되는 듯 보이지만, 조커가 추구하는 혼돈은 조커의 입장에서는 그가 원하는 방식의 질서라 할 수 있으니, 둘 모두 질서를 추구하는 셈입니다. 조커를 죽이지 못하는 배트맨이나, 배트맨과의 싸움에서 가장 강력한 희열을 느끼는 조커의 관계는, 마치 부시와 빈 라덴의 관계의 알고리즘 같습니다. 물론 빈 라덴을 고의적으로 체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부시와 조커의 검거를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는 배트맨은 다르지만, 더욱 강하고 사악한 적으로 인해 존재의의가 생긴다는 점은 공통점입니다. 만일 조커를 비롯한 모든 악당이 사라진 고담시에서 배트맨은 과연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면,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전쟁을 획책한 부시의 말로가 어떤 것인지를 돌이켜 보는 것으로 답변을 대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조커를 비롯한 악당이 모두 사라진다면, 배트맨은 ‘어둠의 기사’가 아니라 ‘사냥이 끝난 뒤 삶아지는 사냥개’로 전락할 것입니다.

투페이스 역시 배트맨의 또 다른 자아입니다. 중반까지 배트맨 못지않게 선을 강력히 신봉하며 악과 맞서 싸워나가는데, 브루스 웨인/배트맨은 자신의 역할을 합법적으로 대신하는 하비 덴트/투페이스에게 넘겨줄 것을 심각하게 고민할 정도로 확실히 악을 응징합니다. 실제 영화에서 그렇게 되었을 확률은 제로에 가까웠겠지만, 만일 하비 덴트가 끝끝내 사적인 복수심을 품지 않았다면, 고담 시의 어둠을 뚫고 활약하는 배트맨은 불필요한 존재로 전락했을 것이며, 밝음의 영역에서 합법적으로 악을 응징하는 하비 덴트가 진정한 영웅으로 인정받았을 것입니다. 물론 조커라는 변수로 인해 하비 덴트는 투페이스라는 악인이 되지만, 만일 조커를 제대로 통제했다면, 투페이스로의 변신은 막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비 덴트에서 투페이스로의 갑작스런 변신은 선과 악에 대한 열망은 의외로 상당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그 둘의 차이는 종이 한 장에 불과하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그가 정의의 화신에서 복수의 화신으로 돌변한 것이 개인적인 복수심에서 비롯된 것임을 생각해보면, 배트맨 역시 그와 같은 위험성이 전무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스파이더맨3’에서 스파이더맨이 심비오트로 인해 악인이 되었던 것처럼, 배트맨 역시 어떤 계기로 인해 악인으로 돌변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IMAX의 대화면은 많지 않은 액션보다는 도시의 원경을 잡는 배경 샷이 더욱 인상적이었습니다. 코믹북을 원작으로 하고 있지만 ‘다크 나이트’의 진정한 연원은 느와르인데, 촬영 장소가 알 카포네의 도시 시카고였다는 점이 더욱 의미심장했던 IMAX였습니다. 물론 기왕 IMAX를 시도할 바에, 모든 장면이 IMAX였으면 더욱 나았을 것이라는 아쉬움도 남습니다.

메멘토 - 과연 인간의 기억은 진실한가
인썸니아 - '메멘토'의 그늘에 가린 아쉬움
배트맨 비긴즈 - 초호화 캐스팅의 짜릿한 블록버스터
다크 나이트 - 액션이 묻힐 정도로 복잡하고 완벽한 윤리적 내러티브

배트맨 2 - 진짜 주인공은 주체적인 그녀, 캣우먼

덧글

  • THX1138 2008/08/27 23:35 #

    저 역시 모든 장면이 아이맥스였다면 이라고 생각했어욧!!
  • zolpidem 2008/08/28 14:00 #

    낮의 대도시나 홍콩의 배경이 팀버튼의 그것과 대치될지는 몰라도,
    영화의 배경으로써는 매우 어울렸다고 생각되더군요.

    조커와 빈라덴(으로 대표되는 중동의 테러세력)이 모두 실제의 인간 자체보다 이미지로 대중에게 다가간다는 것도
    유사한 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디제 2008/08/29 09:48 #

    THX1138님/ 아마도 비용 때문에 모든 장면을 IMAX화 하는 것은 어려웠겠지만 조만간 그런 실사 극영화가 나오지 않을까요? 예고편으로 공개된 'Watchmen'도 IMAX 덕분인지 끌리더군요.
    zolpidem님/ 그렇군요. 덕분에 잘 배웠습니다.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