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1990년 LG 트윈스 팬 북 야구

지금으로부터 18년 전인 1990년, MBC 청룡에서 LG 트윈스로 모기업이 변경되어 새로 창단된 바로 그 해의 팬 북입니다. 모든 사진은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표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파란색입니다. 현재 LG의 상징색은 모기업 로고의 색인 빨간색과 유니폼에 사용되는 흰색, 검정색이며 간간이 노란색도 사용하지만 파란색은 라이벌 삼성의 것이라 이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상단의 'LG' 로고와 하단의 '럭키금성 프로야구단'에서 세월을 느낄 수 있습니다.

왼쪽 하단의 마스코트 역시 색상이 다소 바뀌었습니다만 원형은 거의 그대로입니다. 왼쪽은 작년까지 구단주였던 구본무 LG 그룹 회장입니다.

창단식의 사진. 왼쪽부터 정삼흠, 심재원, 백인천 감독, 구본무 회장, 그리고 오른쪽에는 김용수입니다.

백인천 감독.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 MBC 청룡의 감독 겸 선수로 시즌 타율 0.412라는 대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등번호 2번은 청룡 시절의 것이기도 합니다. 최근 국내 프로야구에서는 감독들이 관례적으로 뒷번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자리수 등번호를 사용하는 일이 드물었는데, 롯데 로이스터 감독은 3번을 사용합니다.

당시에도 김용달 타격 코치가 1군의 타격 코치였습니다. 하지만 당시 여전히 현역 선수였던 대광고 선배 김재박보다 2살 젊었습니다. 이때만 해도 모자의 챙에 빨간색이 들어간 요즘과 달리 모자의 챙도 검정색입니다.

투수 소개에서 메인은 역시 김용수. 왼쪽에는 '부엉이' 정삼흠과 OB에서 트레이드된 최일언.

투수 유종겸, 김용수, 김건우, 김신부, 김태원. 김신부는 태평양에서 트레이드되어 LG 유니폼을 입은 재일교포 선수로 이 해를 끝으로 방출되었습니다.

신인 포수 김동수. 팬북에 소개된 선수 중 유일하게 지금도 뛰고 있는 현역 선수입니다. 지금은 LG 유니폼을 입지 않는다는 것이 서글픕니다.

내야수 김재박과 김상훈.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코칭 스태프처럼 사인을 내고 있는 모습이 그로부터 17년 뒤에 LG의 감독이 될 것을 암시하고 있는 듯합니다.

외야수 이광은, 노찬엽, 박흥식. 1992년 은퇴 종용을 거부하고 팀을 나간 김재박과 달리 은퇴를 수용한 이광은은 2000년 LG 감독에 취임했지만 2001년 5월 극심한 성적 부진으로 물러났습니다. 그래도 이광은은 청룡 시절부터 LG의 간판 스타 중 한 명이었기 때문에 그의 등번호 33번은 타팀 출신인 김상호와 홍현우를 거쳐 현재 박용택에게 계승되었습니다. '검객' 노찬엽은 지금도 LG의 코치로 남아 있으며 이승엽의 스승으로 알려진 박흥식은 현재 기아의 타격코치입니다.

외야수 신언호, 윤덕규, 김영직, 최훈재, 양승관. 청룡 원년 멤버 신언호는 강견을 자랑하던 선수였고, 양승관 역시 삼미의 원년 선수로 트레이드되어 왔습니다. 윤덕규와 김영직은 모두 현재 LG의 코칭 스태프로 남아 있고, 최훈재는 두산의 타격 코치입니다.


당시 마스코트와 치어리더. 매일 같이 마스코트와 치어리더를 잠실야구장에서 만날 수 있는 최근과 달리 이 시대에는 마스코트와 치어리더는 가뭄에 콩나듯 야구장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치어리더라는 표현 대신 치어걸이라는 옛 명칭도 눈에 띕니다.

18년 전의 LG팬들. 창단 첫 해의 팬 북이니 시범 경기에서 촬영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 분들에게는 LG라는 이름보다 청룡이라는 이름이 더 익숙했을 듯. 이 분들이 지금도 잠실 야구장에 오실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제작비 절감을 위해 계열사 광고를 싣는 것은 이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광고 모델은 탤런트 강석우. 당시에는 꽃미남 스타였습니다.

1990년대의 팬 북을 소장하고 있는 것은 이것 뿐인데, 마침 창단한 해이고 동시에 우승까지 했던 해라 애지중지 보관하고 있었습니다. 다음에는 1994년 우승을 비롯해 1990년대 초반의 소장품들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덧글

  • Hineo 2008/07/08 09:44 #

    ...본문과는 상관없지만 맨밑의 광고인 랑데뷰에서 아련한 향수를 느꼈습니다.(저 84년생이라고요!!!(OTL))
  • anaki-我行 2008/07/08 09:54 #

    아침 인터넷 뉴스 보니 그룹에서 야구단 감사에 들어갔다고 하던데...

    흠...

    사진 포석이려나요?...ㅡㅡ;;;;
  • 프랑스혁명군 2008/07/08 10:32 #

    LG 구단 창단 첫 해의 첫 우승!~
    이걸 보니, 그 때의 향수를 느낄수 있었네요.^^
  • 엘트 2008/07/08 11:45 #

    당시 원년 어린이회원이었던 저도 저 팬북이 있었지요. 그때 저 파란색 표지를 코팅해서 어머니께서 책받침을 만들어주셨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그때 윤덕규선수, 최훈재선수, 김상훈선수를 참 좋아했지요. 윤덕규 선수 트레이드 됐을때 펑펑 울기도 했고, 저 해 우승 뒤에 자축청백전에 초대받아 간 일도 있었네요.^^
  • peitho 2008/07/08 11:46 #

    김용달코치가 20년전에도 타격코치였다니, 놀라운데요?ㅎㅎ
  • asiale 2008/07/08 16:56 # 삭제

    딴얘기인데..간만에 럭키금성이 보여서 생각나네요..
    럭키금성이라는 사명을 버리고 LG 로 기업브랜드를 바꾸는데 일등공신이 바로 LG야구단이죠..
    프로야구는 "프로"니깐 돈 얘기를 안할 수 없는데..
    LG는 당시 약간의 투자로 엄청난 홍보효과를 누렸지요.. 프로구단 운영비를 뽑고도 남았었습니다.
    NH로 사명을 바꾸려고 계획중인 농협이.. 현대야구단을 인수했으면 서로 윈윈이었을텐데..
    몇몇 사람들의 인식부재와 강한반대로 이루어지지 않은게 안타깝네요..
  • 류노스케 2008/07/08 17:09 #

    우왕... 이거 집에 있는데...
    찾아봐야곘당...
  • 와초우 2008/07/08 17:35 # 삭제

    예전 영광을 책으로 만나니 새롭네요.
    치어걸 사진과 함께 밑에 멘트..아앗싸! 신난다, 색상좋고..에서 웃음이 터져나왔다는..ㅎㅎ
  • 시엔 2008/07/08 22:01 #

    아....
    95년에 어린이회원 가입했었는데, 팬북 안 버려둘 껄 그랬나보네요.ㅠ
    싸인볼은 지금도 있지만;;
  • pink 2008/07/09 00:59 #

    저에게 야구를 가르쳐주었고, 18년 째 애증이 뒤섞인 복잡한 마음으로 한 팀만을 응원하게 만든 그 1990년의 LG 트윈스로군요. :)
    반가운 자료네요. 당시 삼성과의 한국시리즈 2차전, 김영직의 마지막 스퀴즈 번트가 아직도 생각납니다.
    '초구의 사나이' 윤덕규가 박준태와 트레이드 되었을 때는 위에 엘트님 처럼 저도 화가 많이 났더랬는데
    그래도 94년에 또 우승을 했고, 정말 LG의 팬이라는 게 그렇게 좋았던 어린 시절이었네요.

    92년, 빙그레 이글스와의 상대 전적 3승 15패였던 건 제외하구요. -_-;; (기억이 가물..하네요)
  • 디제 2008/07/09 09:42 #

    Hineo님/ 생각보다 젊으시다고 말씀드리면 실례가 되나요...
    anaki-我行님/ 어떤 형태로 야구단 경영 진단 결과가 나올지 우려스럽습니다.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프랑스혁명군님/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기적이 연출되었던 해였습니다.
    엘트님/ 자축 청백전에 가셨다니 부럽습니다. 저는 가고 싶어도 못갔었거든요.
    peitho님/ 선수시절이 화려하지는 않았지만 코치로서는 김용달 코치의 커리어는 알아주죠...
    asiale님/ asiale님 말씀대로 LG 그룹이라는 명칭이 생기기 이전에 시험적으로 야구단에 LG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홍보하고 결국 그룹으로 정착되어 엄청난 홍보 효과를 누렸는데, 농협은 여러 가지 사정이 있었겠지만 농협처럼 센테니얼보다 탄탄한 모기업이 현대를 인수했다면 최근 불거진 가입금 미납 문제 같은 것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 더욱 아쉽습니다.
    와초우님/ 아무래도 근 20년 전이니 촌티가 납니다...
    시엔님/ 95년이면 이상훈이 20승하고, 플레이오프에서 롯데에 밀린 해군요. 송구홍의 결정적인 실책으로 말입니다.
    pink님/ 90년 한국시리즈 2차전 김영직의 결승타점은 스퀴즈가 아니라 밀어내기 볼넷이었습니다...
  • pink 2008/07/09 10:21 #

    전 왜 그걸 스퀴즈 번트로 기억하고 있을까요. ^^;; 나이도 젊은데 벌써부터 기억력이 이 따위니;;
  • 디제 2008/07/10 10:28 #

    pink님/ 저도 많이 헷갈리는 걸요. ^^;;;
  • R쟈쟈 2008/07/10 20:37 #

    그시절 김상훈의 오묘한 타격폼이 생각나는군요^^
  • ㄱㄱㅈ 2008/09/11 16:29 # 삭제

    파실생각 없으세여??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