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서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인디아나 존스 - 최악의 인종적 편견, 최고의 오락성 영화

상하이에서 청의 초대 황제 누르하치의 유골을 거래하던 인디아나 존스(해리슨 포드 분)는 여가수 윌리 스콧(케이트 캡쇼 분)과 소동에 휘말려 동양인 소년 쇼티 라운드(케 후이 쿠안 분)의 도움으로 탈출하지만 비행기 추락으로 인도에 떨어집니다. 가난한 마을에 도착한 인디아나는, 마을의 수호석 샹카라를 강탈하고 아이들을 납치한 판콧 왕국으로 향합니다.

레이더스’에 이어 3년 만에 돌아온 속편 ‘인디아나 존스’(원제 ‘Indiana Jones and the Temple of Doom’는 ‘인디아나 존스와 죽음의 사원’ 정도로 번역될 수 있지만 1985년 국내 개봉 당시에는 전편 개봉명으로 주인공 인디아나 존스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았기에 시리즈 두 번째 영화에 ‘인디아나 존스’라는 타이틀 롤만을 사용했습니다.)는 주인공 인디아나와 백치미 넘치는 금발 미녀, 그리고 고아 소년이라는 유사 가족 조합으로 가족 영화적인 성격이 강화되었습니다. 국내 개봉 당시 미성년자도 관람할 수 있었던 ‘인디아나 존스’이지만 사실 시리즈 사상 가장 잔혹하며 동양에 대한 편견으로 가득한 최악의 작품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극중에서 인도에 위치한 판콧 왕국은 곤충과 뱀, 원숭이 뇌뿐만 아니라 사람의 눈알을 먹으며, 유아 노동을 착취하고, 살아있는 사람의 심장을 뽑는 의식을 숭배하는 지독한 야만인으로 묘사됩니다. 따라서 식민지배자였던 영국군인이 도리어 인도의 야만성을 규탄하고, 백인인 인디아나는 야만인들을 응징하고 가난한 인도인 마을과 어린이들의 구원자가 됩니다. 게다가 동양인 고아 소년 쇼티(쇼티 역의 케 후이 쿠안은 베트남 출신입니다.)는 인디아나의 양아들이라기보다 마치 ‘80일간의 세계일주’에 동반한 시종처럼 보입니다. 마치 미개한 동양인에게는 지적인 백인 구원자가 필요하다고 강변한다는 혐의에서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시종일관 잔혹하며 음울한 이 오락영화는 어린 쇼티의 눈앞에서 산 사람의 심장을 뽑아내는 장면이 연출될 정도로 신경질적인데, 주술에 따른 희생 제의라 심장 뽑는 장면이 비현실적이고 영화적으로 연출되었다 하더라도, 가족 영화로서는 명백히 부적격입니다. 1985년 국내 개봉 당시에는 심장 뽑는 장면이 삭제되었지만, 고어 호러 영화 ‘쏘우’ 개봉 당시보다 더욱 큰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막상 스크린에서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흥미진진한 작품임에는 분명합니다. 미니어처를 활용해 촬영한 클라이맥스에서의 레일 액션은 가히 압권이며, 앞서 지적한 악취미적인 장면들 역시 하나의 눈요깃거리로 기여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액션과 유머가 반복되는 속도감 넘치는 전개 역시 훌륭합니다. 오프닝의 파라마운트의 로고를 그대로 활용한 실사 장면이 ‘레이더스’로부터 이어져 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7’ 시리즈가 매번 본드 걸을 바꾸듯 ‘인디아나 존스’에서는 케이트 캡쇼가 ‘인디 걸’로 새로이 등장했는데 이 영화에서의 인연 덕분에 스티븐 스필버그는 그녀와 결혼해 현재까지 결혼 생활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초반 상하이 장면에서 인디아나를 위협하는 세 명의 중국인 중 한 명이었던 카오 칸으로 분한 것은 최근작 ‘아메리칸 갱스터’에서 아시아의 마약왕으로 등장한 바 있던 릭 영입니다.

P.S. 개인적으로 ‘인디아나 존스’는 난생 처음으로 극장에서 혼자 관람한 영화입니다. 초등학교 6학년 시절 학교 수업을 마치고 수원의 중앙 극장에서 관람했는데, 영화를 보기 전부터 친구들에게 떠벌이며 자랑하는 바람에 짝이었던 여학생이 호기심에 저를 따라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우연히 극장에서 만날 때까지는 그 아이가 극장에 오는 줄도 몰랐습니다. 물론 같이 앉아서 보거나 한 것도 아니었고 말입니다.) 저에 대한 호기심이었는지, 아니면 심장을 산 채로 뽑는 영화에 대한 호기심이었는지 알 수 없지만 그 친구가 지금도 그 사실을 기억하고 있는지 궁금하군요. 이봐,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다면 기억하고 있는 거야?

미지와의 조우 - 낙천적이고 신비스런 외계인과의 만남
터미널 - 미국은 따뜻한 나라?
마이너리티 리포트 - SF 스릴러의 허울을 쓴 감상적 가족 영화
우주전쟁 - SF를 가장한 끔찍스런 재난 호러 영화

레이더스 - 웃음과 재미 뒤에 감춰진 아시아와 아프리카 비하

덧글

  • 시즈-라이덴 2008/05/20 10:44 #

    벌써 보고 오신 건가요.... 저도 기회가 되면 보러 가야겠습니다.

    디제님의 리뷰를 보고가면 영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네요.

    아이언맨을 처을 볼때는 재미로 두번째볼때는 디제님의 글을 본 뒤라 그런가 이해가 안가던 부분들이 이해가 가더군요 ㄷㄷㄷ
  • 이준님 2008/05/20 10:59 #

    1. 스필버그는 오히려 백인들의 허위성을 강조하기 위해 그런 장면을 넣었다고 하더군요. 영국 장교와 협조하는 토후들이 이상한 일을 해서 말입니다. -_-;;(근데 1930년대에 레드코트에 볼트식 소총은 -_-)

    2. 징 뒤에서 숨어서 총알피하기나 고무보트로 낙하하기 장면은 레이더스에서 기획되었는데 결국 여기서 사용되었다지요

    3. 저희때는 "눈알 대굴대굴"이랑 뱀 이야기가 유행이었습니다

    4. 평은 "주말 오후 B급 영화수준"이라고 했는데 사실 이 작품 자체가 그런 추억으로 만들어졌지요

    5. 인종문제때문인지 3편에서는 다시 적이 "나치"가 되었지요
  • 로이엔탈 2008/05/20 11:03 #

    영화보면서 '어쩐지 싫다아..' 생각했던건 저 뿐만이 아니군요.
  • 젝리 2008/05/20 11:33 # 삭제

    머 어자피 당시 영국인이 보던 인도인의 수준을 리얼하게 살려놓은 것...입니다. 라면서 감상했습니다.

    인다아나 존스박사가 거기서 아무 식사도 안하고 사과1개 달랑 챙겨오던 센스는 뭐랄까.. 정말 인종차별적인 요소였죠. 하지만 그런것을 커버할 만큼 재미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후 인디아나 존스에서는 이런적들은 다시는 등장하지 않습니다.

    아시아 홍콩이 무대가 된 인디아나 존스 게임에서도 말이죠.
  • 지나가며 2008/05/20 11:58 # 삭제

    덧글 1빠님은 내용 보지도 않고 제목만 보고 단 듯.
  • 피를빠는재윤 2008/05/20 12:31 #

    원숭이 눈알로 알았는데 사람 눈알이었습니까? 초등학생 때 정말 재미있게 봤는데 지금 봐도 좋을지 궁금하네요.
  • 정호찬 2008/05/20 12:39 #

    눈알은 딱히 뭐라고 나온 적은 없습니다. 그냥 국솥 여니까 눈알이 둥실둥실 떠오른다. 그 수준이었거든요.

    이준님/ 레드코트야 어차피 예복으로 나왔고 볼트액션 라이플은 2차대전 때도 썼으니까 오류는 아니죠.
  • 칼슷 2008/05/20 12:49 # 삭제

    다음은 last crusade인가요? 'ㅅ'
  • 제절초 2008/05/20 16:08 #

    마지막 장면에서 존스 교수가 채찍으로 허리 낚아채는 장면에 조금 반했었죠.(...) 저의 '채찍 든 남자' 로망을 만들어준 사람입니다. 존스 교수는.(...)
    그러고보니 1의 그 장면 패러디가 3에서 나오던가요?
  • 듀얼배드가이 2008/05/20 16:22 #

    저도 이 영화를 처음 봤을떄가 한국에서 초등학교 2-3학년 때인걸로 기억합니다. 인디가 이상한 액체를 마시고 세뇌 당하는 부분에서 엄청 무서워 했던걸로 기억하네요 ^^;
  • 디카스테스 2008/05/20 17:01 #

    그렇죠 '사람' 눈알이라고 나온적은 없죠.. 눈알스프 일뿐.. (그게 참치눈알일지 어케압니까 ㄲㄲ 눈물주)
  • Grard 2008/05/20 17:42 #

    케 후이 쿠안... 구니스에서도 인상적이었죠(공돌이 소년). 제가 어릴 땐 퀴후이콴이라고 소개되었던 것 같은데, 영화 속에서 늘 어린 모습만 보다가 소년중앙이던가, 어느 잡지에 실린 정장 차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windily 2008/05/20 18:10 #

    저도 이영화를 한 30분 정도 보고는 꺼버렸습니다.
    다른 편에 비해서는 정말 마음에 안들더군요.
  • 디제 2008/05/21 10:18 #

    이준님/ 징 뒤에서 숨어서 총알 피하는 장면은 성룡의 출연작에서 인용한 적이 있었죠. 그리고 고무 보트 장면은 실제로는 탑승한 세 사람의 무게 때문에 하늘에서 뒤집어져서 사람들이 추락하지 않을까 싶더군요.
    로이엔탈님, windily님/ 어릴 적 볼 때는 몰랐는데 지금 보니 완연한 동양 비하더군요.
    칼슷님/ '최후의 성전' 포스팅 올렸습니다.
    듀얼배드가이님/ 저도 극장에서 볼 때 상당히 공포스러웠습니다. 인디가 변한 장면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상당히 공포스러웠죠.
    Grard님/ 아마 개봉 당시에는 '캬 호이 쿠안'으로 신문에 광고가 나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