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 영화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

클래식 3부작의 마지막 편이며 영화로 제작된(되고 있는) 6편의 시리즈 중 시대적으로 가장 뒷이야기를 다루는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은 전형적인 헐리우드 영화입니다. 거대한 악은 일소되고 주인공 일행은 해피 엔딩을 맞이하죠. 이 과정에서는 아버지의 가슴 찡한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가족 영화적 요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가족 영화적 요소가 지나치게 강조된 나머지 이워크 족의 등장은 분명 옥의 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끝없이 넓은 은하계에 이워크 족과 같은 미개 민족이 없으리라는 법은 없지만 가족 영화적 요소를 강조하며 어린이들을 극장으로 모으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등장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이 너무나 암울한 결말이었다는 평가(혹은 질책)이 반영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미개한 어린아이들과 같은 이워크 족이 제국군을 압도하는 모습(이워크 족이 죽는 장면은 딱 한 장면 등장할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이워크 족이 제국군을 무찌르는 장면의 연속입니다.)이 반복되면 도대체 제국군이 정규 훈련을 받은 군대이긴 한건가, 하는 의문마저 들 정도이니 말입니다. 아무리 제국군을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에서 끝장내야 한다지만 분명 무리수를 둔 것으로 보입니다.

이워크 족을 불편하게 바라보는 심기는 발달된 서구 문명과 뒤쳐진 제3세계라는 이분법적 분류에서 후자를 상징하는 것이 이워크 족이 아닌가 싶기 때문입니다. 아프리카나 동남 아시아의 토인을 연상케하는 이워크 족의 언어와 복장, 무기 등은 분명 서구 문명의 자만심의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이 1983년작임을 감안하면 당시에는 이런 인종차별적이며 문화절대주의적 발상이 영화에 투영되는 것이 별다른 금기 사항은 아니었습니다만 조지 루카스는 이런 실수를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협’에서 반복합니다. 자메이카 계의 사투리를 쓰는 어리벙벙한 자자 빙크스와 겅간 족을 등장시켰다가 차가운 평론과 여론의 반응을 얻자 ‘스타워즈 에피소드 2 - 클론의 습격’에서는 그 비중을 대폭 축소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클래식 3부작 중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은 가장 뒤쳐지는 작품이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이워크 족을 제외한다면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은 그렇게 형편없는 작품만은 아닙니다. 역으로 말하면 에피소드 4, 5가 너무나 뛰어난 작품이기에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이 쓸만한 작품임에도 가려진다는 것이죠.

클래식 3부작에 내내 출연하는 보바 펫(‘스타워즈 에피소드 2 - 클론의 습격’에 등장하는 장고 펫의 아들이죠.)이 3부작 가운데 가장 많이 출연하며, 황제가 얼마나 강력한 어둠의 힘을 지녔는지도 잘 알 수 있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을 위해 죽음을 선택하고(다스 베이더의 헬멧을 벗은 아나킨 스카이워커는 ‘앙 선생님’이더군요.) X 윙 파일럿 웨지도 3부작 내내 같은 자리를 빛내줍니다.

‘Galactic Empire’를 ‘갤럭틱 제국’으로, ‘Master Luke’를 ‘루크 대장님’으로, ‘Commnder ship’을 ‘사령탑’으로, ‘Light saber’를 ‘광선도’로 번역한 허접한 자막이지만 그렇다고 영화 자체의 훌륭함과 갈고 닦은 dvd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죠. 마음 같아서는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 이후에 조지 루카스가 에피소드 7, 8, 9를 제작한다고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어차피 ‘스타워즈’와 ‘인디아나 존스’ 그리고 ‘THX1138’ 정도 외에는 그다지 성공한 감독도 아니지 않습니까. 뭐, 돈은 많이 벌었습니다만...

덧글

  • EST_ 2004/09/29 22:15 #

    저 '갤럭틱 제국'의 경우는 오리지널 판의 국내 VHS에서 그것을 다시 오타를 내는 바람에 '갤럭덕 제국'이라고 나왔던 기억이 나는군요.
    (3부작 중 어느 편의 오프닝이었는지까지는 기억나지 않습니다만, 함께 보던 작업실 식구들이 모두 뒤집어지도록 웃었었지요)
  • 925Kun 2004/09/29 22:32 #

    스타워즈 클래식 3부작에 대한 글이 주르륵 올라왔군요.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
    나름대로 영화는 좋아하는 편인데, 개봉한지 십년 이상 지난 영화들에는 손이 잘 안가더라구요. 덕분에 스타워즈도 아직까지 미뤄오고 있는데... 역시 클래식 3부작은 에피소드 3을 본 이후에나 봐야할까봐요.
  • 잠본이 2004/09/29 23:24 #

    갤럭덕 제국...하워드 덕의 고향이려나 (아니야)
  • 디제 2004/09/30 00:54 #

    EST_님/ 갤럭덕 제국... 푸하하. 너무 웃깁니다.
    925Kun님/ 개봉한 지 50년이 지난 흑백영화라도 재미있는 영화들도 많습니다.
    잠본이님/ 하워드 덕 하면, 젊은 시절의 파릇파릇했던 레아 톰슨이 기억나는 군요. 나이가 들수록 이상해지긴 했지만요.
  • 마르스 2004/09/30 09:51 #

    이워크 족을 내세운 것은 제아무리 뛰어난 기술문명이더라도(물론 스톰트루퍼스를 보면 뛰어난지 의심스럽지만), 자연의 힘에는 대항할 수 없다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루카스는 커멘터리에서 몇번이나 이야기하고 있어요. 아무래도 여러번 공격을 당해서 그것에 대한 항변이겠죠.
    그 모든 것을 차치하더라도 말이죠, 이워크는 너무 귀여운 걸요.
  • 디제 2004/09/30 10:12 #

    마르스님/ 이워크 귀엽죠. 아마 안에 들어가 연기했을 어린아이들이 꽤 힘들었을 겁니다. 기술문명을 넘어서는 자연의 힘이라... 그런데 재미있는 건 루카스가 가장 기술문명에 많이 의존하는 영화 감독인 걸요.
  • 젊은거장 2004/10/03 10:14 #

    아버지의 찐 한 사랑.. 하핫.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