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을 보다가 그전부터 좌우의 균형이 맞지 않았던 스피커의 상태가 너무나 귀에 거슬려서 결국 30분 정도 낑낑거리다 완전히 손을 봤습니다. 속이 다 후련하군요. 정확하지는 않지만 1-2년 전부터 그랬던 것 같은데 귀차니즘 때문도 있었고 손을 보려 해도 리시버가 ‘메모리 가드’ 상태여서 손을 보지 못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왼쪽보다는 오른쪽이 소리가 죽어서 제대로 된 5.1ch을 감상하지 못했던 것인데 ‘스타워즈’가 제게 귀찮고 번거로워도 손을 볼 수 있게끔 의지를 부여하는 군요. 아무래도 포스의 힘인가 봅니다.
이틀 연속으로 ‘스타워즈’를 감상하고 있습니다만 아무리 봐도 제국군은 허접합니다. 스톰 트루퍼가 쏘는 총은 절대 주인공 일행을 맞추지 못하고 그저 맞고 쓰러지기만 합니다. 스톰 트루퍼가 등장하는 장면에서 주인공 일행이 당하는 장면은 절대 나오지 않으니 오히려 안심이 됩니다. 그런 면에서 차라리 ‘스타워즈 에피소드 2 - 클론의 습격’의 클론 트루퍼가 훨씬 더 강력합니다. 제다이의 명령을 충실히 수행하며 용감무쌍하게 무역 연합과 맞서는 모습에서 황제가 공화국을 멸망시킨 이후 클론들을 봉인했다는 것이 어리석게 느껴질 정도입니다. 제국군의 제독과 장군들도 하나같이 무능해서 공화국의 공격으로 전사하는 숫자보다 베이더의 눈 밖에 나서 죽는 일이 더 흔한 것 같습니다.
클래식 3부작 중 최고라고 칭송받는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은 역시 이름값을 하는 작품입니다. 설원의 호스 행성에서 지저분한 데고바와 붉은 빛의 첨단 도시인 어노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별들을 오고 가며 이어지는 2시간이 넘는 러닝 타임을 전혀 지루하지 않도록 느끼게 해줍니다. 특히 초반부의 AT-AT에 맞서는 반란군의 처절한 전투는 2차 대전에서 독일군에게 형편없이 밀리던 프랑스군의 참호전을 연상케 하는 군요.
하지만 누가 뭐래도 압권은 후반부의 루크와 다스 베이더의 대결입니다. 시리즈의 최고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트 세이버 대결이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에서 다소 느리고 빈약하게 그려진 것을 만회라도 하듯 화려하고 강력하게 그려집니다. 제국군의 무능함을 일소하는 듯한 다스 베이더의 카리스마와 힘은 가히 압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은 암울한 결말로 극장문을 나서는 팬들의 마음을 무겁게 했던 작품입니다. 국내에서는 1980년에 개봉되지 못한 채 1997년 20주년 기념 리뉴얼 버전으로만 개봉되었습니다만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1977년 개봉 당시 제목은 아무런 수식어가 없는 ‘스타워즈’였죠.)의 개봉 이후 3년을 기다렸으며, 이후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까지 3년이나 더 기다려야 했던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팬들은 한 솔로가 냉동형에 처해지고 루크가 손을 잃는 - 가족 영화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잔혹한 것처럼 보이는 - 장면에서 매우 놀랐을 것입니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스타워즈’ 시리즈 사상 최고의 반전이라고 할 수 있는 ‘나는 네 아버지다’라는 대사에서 경악을 금치 못했을 것입니다. 루크의 손을 자른 악의 화신이 바로 죽은 줄로만 알았던 루크의 친아버지라는 사실에서 말입니다. 하지만 다스 베이더가 루크와는 아무런 상관 없는 단순한 적에 불과했다면 ‘스타워즈’ 시리즈가 이렇게까지 두고두고 인기를 얻는 작품이 되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더더욱 재미있는 것은 대다수의 팬들이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여기는 프리퀄 3부작의 최종편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를 기다리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다스 베이더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절제할 줄 몰랐던 젊은 아나킨 스카이워커가 결국 다스 베이더가 되고 마는 장면을 팬들 중에는 30년을 기다린 사람들도 많을 것입니다. 그리고 메이스 윈두를 비롯한 제다이는 절멸할테고 오비완과 요다는 간신히 목숨만 부지한 채 타투인과 데고바에 숨어들 겁니다. 아미달라도 쌍둥이를 낳고 죽겠죠. 이렇게 암울하고 뻔한 결말을 설레이는 마음으로 기다리는 사람들, 그게 바로 스타워즈의 팬입니다. 저도 그중 한 사람이고요.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

이틀 연속으로 ‘스타워즈’를 감상하고 있습니다만 아무리 봐도 제국군은 허접합니다. 스톰 트루퍼가 쏘는 총은 절대 주인공 일행을 맞추지 못하고 그저 맞고 쓰러지기만 합니다. 스톰 트루퍼가 등장하는 장면에서 주인공 일행이 당하는 장면은 절대 나오지 않으니 오히려 안심이 됩니다. 그런 면에서 차라리 ‘스타워즈 에피소드 2 - 클론의 습격’의 클론 트루퍼가 훨씬 더 강력합니다. 제다이의 명령을 충실히 수행하며 용감무쌍하게 무역 연합과 맞서는 모습에서 황제가 공화국을 멸망시킨 이후 클론들을 봉인했다는 것이 어리석게 느껴질 정도입니다. 제국군의 제독과 장군들도 하나같이 무능해서 공화국의 공격으로 전사하는 숫자보다 베이더의 눈 밖에 나서 죽는 일이 더 흔한 것 같습니다.
클래식 3부작 중 최고라고 칭송받는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은 역시 이름값을 하는 작품입니다. 설원의 호스 행성에서 지저분한 데고바와 붉은 빛의 첨단 도시인 어노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별들을 오고 가며 이어지는 2시간이 넘는 러닝 타임을 전혀 지루하지 않도록 느끼게 해줍니다. 특히 초반부의 AT-AT에 맞서는 반란군의 처절한 전투는 2차 대전에서 독일군에게 형편없이 밀리던 프랑스군의 참호전을 연상케 하는 군요.
하지만 누가 뭐래도 압권은 후반부의 루크와 다스 베이더의 대결입니다. 시리즈의 최고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트 세이버 대결이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에서 다소 느리고 빈약하게 그려진 것을 만회라도 하듯 화려하고 강력하게 그려집니다. 제국군의 무능함을 일소하는 듯한 다스 베이더의 카리스마와 힘은 가히 압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은 암울한 결말로 극장문을 나서는 팬들의 마음을 무겁게 했던 작품입니다. 국내에서는 1980년에 개봉되지 못한 채 1997년 20주년 기념 리뉴얼 버전으로만 개봉되었습니다만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1977년 개봉 당시 제목은 아무런 수식어가 없는 ‘스타워즈’였죠.)의 개봉 이후 3년을 기다렸으며, 이후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까지 3년이나 더 기다려야 했던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팬들은 한 솔로가 냉동형에 처해지고 루크가 손을 잃는 - 가족 영화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잔혹한 것처럼 보이는 - 장면에서 매우 놀랐을 것입니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스타워즈’ 시리즈 사상 최고의 반전이라고 할 수 있는 ‘나는 네 아버지다’라는 대사에서 경악을 금치 못했을 것입니다. 루크의 손을 자른 악의 화신이 바로 죽은 줄로만 알았던 루크의 친아버지라는 사실에서 말입니다. 하지만 다스 베이더가 루크와는 아무런 상관 없는 단순한 적에 불과했다면 ‘스타워즈’ 시리즈가 이렇게까지 두고두고 인기를 얻는 작품이 되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더더욱 재미있는 것은 대다수의 팬들이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여기는 프리퀄 3부작의 최종편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를 기다리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다스 베이더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절제할 줄 몰랐던 젊은 아나킨 스카이워커가 결국 다스 베이더가 되고 마는 장면을 팬들 중에는 30년을 기다린 사람들도 많을 것입니다. 그리고 메이스 윈두를 비롯한 제다이는 절멸할테고 오비완과 요다는 간신히 목숨만 부지한 채 타투인과 데고바에 숨어들 겁니다. 아미달라도 쌍둥이를 낳고 죽겠죠. 이렇게 암울하고 뻔한 결말을 설레이는 마음으로 기다리는 사람들, 그게 바로 스타워즈의 팬입니다. 저도 그중 한 사람이고요.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