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 허무, 고독, 스칼렛 요한슨, 도쿄
오스트리아의 공주 마리 앙투아네트(커스틴 던스트 분)는 프랑스의 루이 16세(제이슨 슈왈츠먼 분)에게 시집가지만 루이 16세가 섹스를 거부해 몇 년 동안 불안한 위치에 섭니다. 딸을 출산한 이후 마리 앙투아네트는 도박과 파티, 페르젠 백작(제이미 도넌 분)과의 사랑에 빠집니다.
소피아 코폴라 감독의 ‘마리 앙투아네트’는 전작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낯선 장소에 적응을 강요당해 권태를 견디지 못하는 젊은 여성과 아내에 무관심한 젊은 남편이 이야기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화려한 영상과 애잔한 록 음악에 맹숭맹숭한 사건이 연속되면서 일견 지루할 수도 있다는 점 역시 공통점입니다.
사치와 방탕의 상징으로 프랑스 혁명 당시 단두대에서 최후를 마친 마리 앙투아네트이지만 소피아 코폴라는 철저히 개인적이며 1인칭적인 관점에서 영화를 끌고 갑니다. (심지어 루이 16세에 대한 심리 묘사조차 거의 없는 것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마리 앙투아네트의 어린 시절에 대한 묘사는 전혀 없으며, 그녀가 혁명군에게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된 다음 단두대에 서는 과정 역시 없습니다. 루이 16세가 승인한 미국 혁명 지원 재정 지출이나 프랑스 혁명 초기의 바스티유 감옥 습격 등이 간과되는 것은 아니지만 영화는 그런 역사적 맥락에 대해서 그다지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마리 앙투아네트를 일국의 왕비로 묘사하기 보다는 평범한 여인으로 묘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마치 궁중 배경의 가벼운 순정만화 같은 영화 ‘마리 앙투아네트’를 정치적, 역사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부질없는 짓인 듯 합니다. 단지 아쉬움이 있다면 마리 앙투아네트가 초야를 치루기 이전까지의 과정에 비해 그 이후의 삶이 지나치게 축약되어 주변 인물들은커녕 주인공 마리 앙투아네트의 심리 상태조차 읽어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화려한 의상과 음식, 찬란한 베르사유 궁전과 더불어 논란거리가 되고 있는 운동화 장면, 그리고 나폴레옹의 초상화(1980년대 중학생 참고서 ‘완전정복’의 표지였던 나폴레옹이 말을 탄 채 손가락을 높이 쳐들고 있는 그림)를 패러디한 페르젠 백작의 모습 등 눈요기 거리는 상당히 풍부합니다. 역사적 배경 지식에 대해 적당히 알고, 소품이나 의상에 관심을 두고 본다면 2시간이 조금 넘는 러닝 타임이 전혀 지루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미 관람한 다른 분들의 지적도 이어지고 있지만 홍주희의 자막 번역은 최악입니다. 프랑스의 궁중 언어를 번역하는데 2007년 한국에서 사용되는 비속어나 통신어인 ‘쏠려’, ‘훈남’, ‘대략 난감’, ‘코디가 안티’ 등 어처구니없는 번역을 하고 있습니다. 자막이라는 것은 정확히 의미만 제시하면 될 뿐, 번역자가 스크린 밖으로 튀어나와 비속어까지 동원하며 관객을 억지로 웃길 필요는 전혀 없는데 홍주희는 이를 망각한 번역자입니다. 차후 외화 번역을 다시는 맡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소피아 코폴라 감독의 ‘마리 앙투아네트’는 전작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낯선 장소에 적응을 강요당해 권태를 견디지 못하는 젊은 여성과 아내에 무관심한 젊은 남편이 이야기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화려한 영상과 애잔한 록 음악에 맹숭맹숭한 사건이 연속되면서 일견 지루할 수도 있다는 점 역시 공통점입니다.
사치와 방탕의 상징으로 프랑스 혁명 당시 단두대에서 최후를 마친 마리 앙투아네트이지만 소피아 코폴라는 철저히 개인적이며 1인칭적인 관점에서 영화를 끌고 갑니다. (심지어 루이 16세에 대한 심리 묘사조차 거의 없는 것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마리 앙투아네트의 어린 시절에 대한 묘사는 전혀 없으며, 그녀가 혁명군에게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된 다음 단두대에 서는 과정 역시 없습니다. 루이 16세가 승인한 미국 혁명 지원 재정 지출이나 프랑스 혁명 초기의 바스티유 감옥 습격 등이 간과되는 것은 아니지만 영화는 그런 역사적 맥락에 대해서 그다지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마리 앙투아네트를 일국의 왕비로 묘사하기 보다는 평범한 여인으로 묘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마치 궁중 배경의 가벼운 순정만화 같은 영화 ‘마리 앙투아네트’를 정치적, 역사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부질없는 짓인 듯 합니다. 단지 아쉬움이 있다면 마리 앙투아네트가 초야를 치루기 이전까지의 과정에 비해 그 이후의 삶이 지나치게 축약되어 주변 인물들은커녕 주인공 마리 앙투아네트의 심리 상태조차 읽어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화려한 의상과 음식, 찬란한 베르사유 궁전과 더불어 논란거리가 되고 있는 운동화 장면, 그리고 나폴레옹의 초상화(1980년대 중학생 참고서 ‘완전정복’의 표지였던 나폴레옹이 말을 탄 채 손가락을 높이 쳐들고 있는 그림)를 패러디한 페르젠 백작의 모습 등 눈요기 거리는 상당히 풍부합니다. 역사적 배경 지식에 대해 적당히 알고, 소품이나 의상에 관심을 두고 본다면 2시간이 조금 넘는 러닝 타임이 전혀 지루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미 관람한 다른 분들의 지적도 이어지고 있지만 홍주희의 자막 번역은 최악입니다. 프랑스의 궁중 언어를 번역하는데 2007년 한국에서 사용되는 비속어나 통신어인 ‘쏠려’, ‘훈남’, ‘대략 난감’, ‘코디가 안티’ 등 어처구니없는 번역을 하고 있습니다. 자막이라는 것은 정확히 의미만 제시하면 될 뿐, 번역자가 스크린 밖으로 튀어나와 비속어까지 동원하며 관객을 억지로 웃길 필요는 전혀 없는데 홍주희는 이를 망각한 번역자입니다. 차후 외화 번역을 다시는 맡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