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더맨 - 서민적인 영웅
스파이더맨 2 - 워커 홀릭 히어로의 고군분투
본 포스팅에는 '스파이더맨 3'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영화 포스팅을 하며 관습적으로 행했던 몇 줄 내로 줄거리를 적당히 줄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로 서사구조가 이리 꼬이고 저리 꼬인 ‘스파이더맨 3’를 보면서 아쉬웠던 것은 스토리의 산만함이었습니다. 스파이더맨(토비 맥과이어 분)과 뉴 고블린(제임스 프랑코 분), 스파이더맨과 샌드맨(토마스 헤이든 처치 분), 스파이더 맨과 베놈(토퍼 그레이스 분)의 대결에 피터 파커/스파이더맨과 MJ(커스틴 던스트 분), 해리 오스본/뉴 고블린, 그웬 스테이시(브라이스 댈러스 하워드 분), 에디 브룩/베놈의 5각 관계와 삼촌 벤 파커(클리프 로버트슨 분)의 죽음의 의문까지 겹쳐지며 2시간 20분의 러닝 타임은 부족한 감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스파이더맨 최고의 라이벌인 베놈이 스크린에 모습을 드러낸 후 고작 1시간도 못되어 최후를 맞이한 것은 2002년 작인 시리즈 첫 번째 작품이후 5년 동안 베놈의 등장을 기다렸던 팬들에게 있어 재앙과도 같은 결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혹평과 글 앞부분에 꼽았던 아쉬움을 감안하더라도 ‘스파이더맨 3’는 상당히 만족스러웠습니다. 1, 2편을 압축한 오프닝 이후 3명의 적과의 대결에 마구 꼬인 애정 관계를 덧붙여 그 정도로 압축한 것만으로도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이미 인터넷을 통해 피터와 뉴 고블린의 대결을 사실상 전부 공개했던 자신감은 결코 허풍이 아니었습니다. ‘스파이더맨 2’의 닥터 옥토퍼스와의 대결을 뛰어넘는 - 그것도 IMAX로 펼쳐지는 - 샌드맨과의 지하철 대결이나 베놈의 변신, 그리고 스파이더맨 + 뉴 고블린 대 베놈 + 샌드맨의 꿈의 태그 매치는 환상적이었습니다. 배배 꼬인 애정 관계 때문에 웃을 수 있는 장면이 적었지만 제임슨 국장(J.K 시몬즈 분)이 아들의 파혼은 완전히 잊은 채 코믹 캐릭터로 분해 부족한 웃음을 채웠습니다.
시민들에게 환영받으며 스타덤에 오른 스파이더맨의 존재에 자만하다 나락으로 구르고 악의 유혹에 빠지는 피터의 모습은, 극단적인 진폭을 소화하는 토비 맥과이어의 연기가 겹쳐지며 시리즈에서 가장 흥미롭고 인간적인 모습을 노출했습니다. 슈퍼맨이 붉은 크립토나이트에 노출되었을 때처럼 피터도 심비오트로 인해 폭력적이고 과시적으로 변하는데 오히려 블랙 슈트의 스파이더맨이 더욱 매력적이었습니다. 비록 현실화되기는 힘들겠지만 만일 블랙 슈트의 스파이더맨과 베놈이 붙는다면 (빠른 액션 장면에서는 둘을 구분하기 힘들겠지만) 그것 또한 흥미로울 듯 합니다.
MJ를 구하기 위해 피터가 도움을 청할 때부터 이미 스파이더맨과 뉴 고블린의 합전이 이루어질 것이 예상되었고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에서 한 솔로가 그랬듯 뉴 고블린도 결정적인 순간에 나타나 스파이더맨을 구합니다. 뉴 고블린이 개심 캐릭터가 된 것인데 안타깝게도 베놈에게 최후를 맞이하며, 4편이 제작되어도 고블린 부자는 더 이상 등장하지 않을 듯 합니다. 사실 3편까지의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생각해보면 뉴 고블린/해리의 비중은 의외로 적었는데 제대로 된 활약을 잠시 보여주자마자 곧바로 퇴장한 것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전성기의 아놀드 슈왈츠제네거의 용모와 비슷한 토마스 헤이든 처치가 분한 샌드맨은 특수 효과면에서는 놀랍지만 스토리상으로는 사족에 가까운 캐릭터였습니다. 벤 파커의 죽음을 둘러싼 새로운 진실도 샌드맨을 스토리에 삽입하고 피터의 용서를 돋보이게 하려는 교훈적인 전개였기에 억지스러웠습니다. 종반부의 태그 매치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필요했지만 샌드맨 없이 베놈이 초반부터 영화를 좌우했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비록 등장 시간은 짧았지만 베놈의 카리스마는 대단했습니다. 비열한 토퍼 그레이스의 연기(그는 용모와 체형이 모두 토비 맥과이어와 닮았는데 이는 피터/스파이더맨의 분열된 악한 자아를 상징히는 에디/베놈의 케스팅으로는 대단히 적절했습니다.)와 심비오트의 징그러운 CG, 그리고 귀청을 찢는 사운드가 결합되어 베놈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명불허전임을 과시했습니다. 비록 에디가 심비오트와 함께 폭사한 것으로 결말지어졌지만 만일 샘 레이미 연출에 동일한 캐스팅으로 4편이 제작된다면 베놈의 부활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스파이더맨 2 - 워커 홀릭 히어로의 고군분투
본 포스팅에는 '스파이더맨 3'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스파이더맨 최고의 라이벌인 베놈이 스크린에 모습을 드러낸 후 고작 1시간도 못되어 최후를 맞이한 것은 2002년 작인 시리즈 첫 번째 작품이후 5년 동안 베놈의 등장을 기다렸던 팬들에게 있어 재앙과도 같은 결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혹평과 글 앞부분에 꼽았던 아쉬움을 감안하더라도 ‘스파이더맨 3’는 상당히 만족스러웠습니다. 1, 2편을 압축한 오프닝 이후 3명의 적과의 대결에 마구 꼬인 애정 관계를 덧붙여 그 정도로 압축한 것만으로도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이미 인터넷을 통해 피터와 뉴 고블린의 대결을 사실상 전부 공개했던 자신감은 결코 허풍이 아니었습니다. ‘스파이더맨 2’의 닥터 옥토퍼스와의 대결을 뛰어넘는 - 그것도 IMAX로 펼쳐지는 - 샌드맨과의 지하철 대결이나 베놈의 변신, 그리고 스파이더맨 + 뉴 고블린 대 베놈 + 샌드맨의 꿈의 태그 매치는 환상적이었습니다. 배배 꼬인 애정 관계 때문에 웃을 수 있는 장면이 적었지만 제임슨 국장(J.K 시몬즈 분)이 아들의 파혼은 완전히 잊은 채 코믹 캐릭터로 분해 부족한 웃음을 채웠습니다.
시민들에게 환영받으며 스타덤에 오른 스파이더맨의 존재에 자만하다 나락으로 구르고 악의 유혹에 빠지는 피터의 모습은, 극단적인 진폭을 소화하는 토비 맥과이어의 연기가 겹쳐지며 시리즈에서 가장 흥미롭고 인간적인 모습을 노출했습니다. 슈퍼맨이 붉은 크립토나이트에 노출되었을 때처럼 피터도 심비오트로 인해 폭력적이고 과시적으로 변하는데 오히려 블랙 슈트의 스파이더맨이 더욱 매력적이었습니다. 비록 현실화되기는 힘들겠지만 만일 블랙 슈트의 스파이더맨과 베놈이 붙는다면 (빠른 액션 장면에서는 둘을 구분하기 힘들겠지만) 그것 또한 흥미로울 듯 합니다.
MJ를 구하기 위해 피터가 도움을 청할 때부터 이미 스파이더맨과 뉴 고블린의 합전이 이루어질 것이 예상되었고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에서 한 솔로가 그랬듯 뉴 고블린도 결정적인 순간에 나타나 스파이더맨을 구합니다. 뉴 고블린이 개심 캐릭터가 된 것인데 안타깝게도 베놈에게 최후를 맞이하며, 4편이 제작되어도 고블린 부자는 더 이상 등장하지 않을 듯 합니다. 사실 3편까지의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생각해보면 뉴 고블린/해리의 비중은 의외로 적었는데 제대로 된 활약을 잠시 보여주자마자 곧바로 퇴장한 것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전성기의 아놀드 슈왈츠제네거의 용모와 비슷한 토마스 헤이든 처치가 분한 샌드맨은 특수 효과면에서는 놀랍지만 스토리상으로는 사족에 가까운 캐릭터였습니다. 벤 파커의 죽음을 둘러싼 새로운 진실도 샌드맨을 스토리에 삽입하고 피터의 용서를 돋보이게 하려는 교훈적인 전개였기에 억지스러웠습니다. 종반부의 태그 매치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필요했지만 샌드맨 없이 베놈이 초반부터 영화를 좌우했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비록 등장 시간은 짧았지만 베놈의 카리스마는 대단했습니다. 비열한 토퍼 그레이스의 연기(그는 용모와 체형이 모두 토비 맥과이어와 닮았는데 이는 피터/스파이더맨의 분열된 악한 자아를 상징히는 에디/베놈의 케스팅으로는 대단히 적절했습니다.)와 심비오트의 징그러운 CG, 그리고 귀청을 찢는 사운드가 결합되어 베놈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명불허전임을 과시했습니다. 비록 에디가 심비오트와 함께 폭사한 것으로 결말지어졌지만 만일 샘 레이미 연출에 동일한 캐스팅으로 4편이 제작된다면 베놈의 부활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