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서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천년학 - 거장이 간결하게 담아낸 한(恨)의 정서 영화

소리꾼 유봉(임진택 분)은 혈연이 아닌 동호(조재현 분)와 송화(오정해 분)를 남매로 키워 큰소리꾼으로 키우려 하지만 누나 송화를 좋아하게 된 동호는 가난이 싫어 집을 나갑니다. 유봉은 송화를 붙잡기 위해 맹인으로 만들고 송화를 잊지 못한 동호는 송화를 찾아 전국을 떠돕니다.

영화 깨나 좋아한다고 블로그에 졸문들을 올리고 있지만, 고백하자면 임권택 감독의 영화를 제대로 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초등학교 3학년 때 반공영화로 단체 관람하며 하나도 줄거리를 이해하지 못했던 반공 영화 ‘아벤고 공수군단’과 (그때는 너무 어려서 이 영화를 보며 왜 부부가 옷을 벗고 한 이불에 들어갔는지도 몰랐고, 빗발치는 총탄에 선혈이 낭자한 등장인물의 죽음 장면만 기억에 남지 줄거리는 하나도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TV의 명절 영화로 시큰둥하게 졸면서 본 ‘장군의 아들’ 정도가 있을 뿐입니다. 그 유명한 ‘서편제’는 멀쩡한 여자를 득음을 위해 눈을 멀게 한다는 설정이 혐오스러워 (‘서편제’가 흥행했을 때 왜 오정해를 눈을 멀게 해야 하느냐, 그런 비정함이 한국적 정서란 말인가, 하는 논쟁도 상당했습니다.) 관람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천년학’을 보게 된 것은 호기심 반, 의무감 반이었습니다. 씨네 21의 독자평가서를 써야 하는데 이번 주 과제인 598호가 임권택 감독과 '천년학'에 대한 극찬으로 지면을 가득 메우고 있기에 두 눈으로 똑똑히 영화를 보고 흠이 잡히면 실컷 씹어주자는 비뚤어진 심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그리고 ‘서편제’도 안 봤으니 ‘천년학’을 그 자체로만 객관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는 나름대로의 계산도 있었습니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선입견이 완전히 박살났습니다. 한(恨)의 한국적 정서를 담는다면 필수적으로 수반될 것이라 지레짐작했던 신파는 전혀 없었고 30여년의 세월을 속도감 넘치게 압축하여 정서적으로도 건조하다 싶을 정도로 간결하고 깔끔했습니다. 장면장면의 정서를 가사에 압축해 드러내는 판소리와 이에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원경은 가슴 속에 각인됩니다. 이어질 듯 끊어지는 동호와 송화의 인연과 주변 인물들의 삶과 죽음은 미망과 세월 속에서 유장하게 엇갈립니다. 반드시 롱테이크의 원컷 원신을 포함시켜 자신의 작품임을 증명하는 임권택 감독의 인장은 제주도에서 송화가 ‘갈까부다’를 부르는 장면에서 드러나는데 짧지도 길지도 않은 매우 적절한 길이로 보는 이의 마음을 움직입니다.

9년 만에 스크린으로 돌아와 ‘천년학’을 위해 감량하다 입원한 오정해는 여전히 곱습니다. 나이가 훨씬 많은 조재현이 남동생을 맡은 점이 어색하기는 하지만 절제된 연기를 선보입니다. ‘박수칠 때 떠나라’의 면도날 같은 검사와는 상반되는 추레한 유승룡이나 이제는 어느 영화에서 자신의 색깔을 발산하는 고수희(‘네 살을 베어다 바쳐라!’는 명대사였습니다.)의 부부 연기도 인상적이며 동호 곁을 맴도는 단심 역의 오승은은 고인이 된 정다빈을 연상케 하는데 유난히 예쁘게 잡은 정면 클로즈업이 있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거장의 작품을 100번째가 되어서야 제대로 본 셈인데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임권택 감독의 다른 작품들, 특히 1980년대와 그 이전의 작품, 심지어 반공영화였던 '아벤고 공수군단'도 제대로 싶습니다. 올해 우리나이로 일흔 둘인 임권택 감독이 돌아가시기라도 한다면 이제 한국적인 영화는 누가 만들지 걱정스럽습니다.

덧글

  • 走者 2007/04/13 10:14 #

    고등학교던가.. 중학교 땐가, 교과서에서 천년학이 실려서 보긴 했는데... 영화는 어떻게 그 장면을 표현할 지 기대되네요. 한번 봐야겠습니다. ^^ 서편제는 TV로 밖에 못 봤는데, 일부러 눈을 멀게 했다는 부분에서 어렸을 때 충격이 컸죠.
  • 이준님 2007/04/13 16:41 #

    1. 천년학은 100번째 작품이 아니지요. =-_-;;; 70년대 괴악한 영화중에 임권택 감독 이름달고 나온게 많아요. 심지어 감독 자신도 이름을 기억하기 어려운것도 있고 개인적으로는 괜찮지만 감독이 인정하지 않는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가 100번째입니다. 다시 말해서 임권택 감독 이름 달고 있는작은 100이 넘는다는 거지요.

    2. 서편제는 뭐 김영삼이 지지해서 그렇다~ 라는 이야기도 돌 정도였지요. 평이 극과 극이었고 휘모리 같은 유사작도 있었지만 역시 임감독이 만드는게 낫다는 생각이 듭니다.

    3. 많은 분들이 "끝이 뭐 저래"라고 하는데 임감독 영화중에 "끝이 저런" 작이 많지요. 유명한 노는 계집 창도 그렇고 남과 북의 어린이가 만나는 괴악작도 그렇고 -_-;;;

    PS: 임권택판 흥행 쓰레기 작(본인이 말하는)을 찍던 노하우로 찍은게 장군의 아들입니다.

    임권택 감독판 반공영화도 나름대로 포스가 있지요. 짝코 같은 경우는 본인도 인정한 걸작이고 앞에서 말씀드린 표류한 남의 어린이와 북의 어린이가 만나는 괴악한 작도 현실적인 결말(남으로 탈출하다가 둘다 죽음 -_-;;)로 악명 높고, 김창숙씨가 나온 "증언"은 전쟁의 잔혹성 자체를 리얼하게 다루었지요. 말씀하신 아벤고 공수군단의 경우는 개인적으로는 더티 대즌의 안티 클라이맥스판이라고 봅니다. 우리도 인기였지만 의외로 일본의 마이너 전쟁 영화 펜들에게 더 인기가 있지요-물론 "컴뱃"의 빅 머로우가 나온다는 점이 있지만
  • 루나★ 2007/04/13 16:56 #

    저도 씨네21 특집 기사에 압박받아서, 이 영화를 봐야지...하는데 역시나 게으름 반, 시간 없음 반으로 못보고 있네요ㅠ_ㅠ 디제님의 평 보니깐, 더 땡기는군요-ㅋ
  • SAGA 2007/04/13 20:04 #

    저도 솔직히 말하면 임권택 감독님의 영화를 제대로 본 게 없군요. 그나마 제대로 본 게 장군의 아들 정도일까요? 그것도 1편만 좀 관심있게 봤을 뿐 2, 3는 아예 보지도 않았죠. 서편제는 워낙 좋은 작품이다라고 떠들어 대니까 오히려 반감만 들어 보지 않아서 이제까지 임권택 감독님의 영화를 제대로 본 게 없네요. 이번에 한번 제대로 봐야겠습니다.(물론 시험이 끝나야...... ㅠ.ㅠ)
  • 藤崎宗原 2007/04/13 20:58 # 삭제

    전 처음에 선학동 나그네? 란 생각을 해버렸습니다.

    뭐랄까 보고 나서 딱 뭐라고 표현하질 못하겠더군요 ^^:

    하지만 깊이 있고 마음에 와 닿는면이 있다.

    그것만으로도 잘만들어졌다고 생각됩니다 ^^
  • oIHLo 2007/04/14 04:03 #

    藤崎宗原 / 선학동 나그네가 원작이 맞습니다.

    ...시험 끝나고서 꼭 봐야겠네요
  • 디제 2007/04/14 10:30 #

    走者님/ '그 부분'은 결말을 말씀하시나 본데, 무난하게 표현되었습니다. 직접 극장에서 확인하시죠. ^^
    이준님/ '아벤고 공수군단'은 도대체 어떤 영화였는지 너무 궁금해서 다시 보고 싶습니다만 방법이 없군요. --;;;
    루나★님/ 주말만 되면 씨네21의 숙제의 압박에 시달립니다. 가뜩이나 주말 근무 직장에 다니느라 일이 많은데 말이죠. --;;;
    SAGA님/ 시험이 언제인지 모르겠습니다만 건투를 빕니다. ^^;;;
    藤崎宗原님/ 원작과 각본 모두 이청준이 담당했습니다.
    oIHLo님/ 그런데 극장에 오래 걸려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마리 2007/04/14 23:05 #

    저도 서편제 보면서 디제님과 같은 생각을 했더랍니다.
    그 뒤가 궁금해서라도 이 영화는 봐야겠군요. : )
  • 디제 2007/04/15 12:58 #

    마리님/ 아마 '서편제'의 속편이라기 보다는 패러럴 월드라고 보는 편이 더 좋으실 듯 합니다.
  • 열혈 2007/04/16 15:58 #

    소리꾼 유봉은 혈연이 아닌 동호와 송화를 남매로 키워 큰소리꾼으로 키우려 하지만 누나 송화를 좋아하게 된 동호는 가난이 싫어 집을 나갑니다. 유봉은 송화를 붙잡기 위해 맹인으로 만들고 송화를 잊지 못한 동호는 송화를 찾아 전국을 떠돕니다. 라는 스토리는 서편제랑 같아 보이는데요. 배우도 비슷해보이고... 오마쥬인가..(자기작품을 자기가?)
  • 디제 2007/04/17 09:25 #

    열혈님/ 그건 '서편제'와 '천년학' 모두 이청준의 소설을 각각 별개로 원작으로 했기 때문 아닐까요. 그러니 자기 복제라기 보다는 패럴럴 월드로 봐야한다고 생각됩니다.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