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7의 첫 번째 미션을 다룬 ‘007 카지노 로얄’은 주연 배우가 교체되며 전통이라 할 수 있었던 과거의 패턴 중 상당히 많은 부분을 ‘개혁’했습니다. 매끈한 바람둥이 007은 순애보 터프 가이로 교체되었는데(극중에서는 이전 007들의 고정된 이미지를 ‘까는’ 대사도 있습니다.) 이는 새로이 제임스 본드 역을 맡게 된 다니엘 크레이그의 이미지 덕분입니다. 악역 이미지에 가까운 그가 새로운 본드로 캐스팅되었다는 사실에 기대보다는 우려가 컸으며 메트로섹슈얼한 꽃미남이 각광받는 시대의 조류에 역행한다는 점에서 의문 부호가 붙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초반부의 격렬한 액션 장면 두 개로 이런 의문과 우려는 깔끔히 불식됩니다. 특히 007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을 듯한 야마카시 액션은 영화 전체에서 가장 빛나는 장면으로 관객의 혼을 쏙 빼놓습니다. 이런 스타일의 변화는 아무래도 맷 데이먼 주연의 ‘본 시리즈’에서 영향을 받았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온몸을 불사르는 본드의 액션에 신무기의 필요성은 사라졌습니다. 스위치 몇 번 누르는 것만으로 적들을 물리쳤던 본드는 더 이상 필요 없기에 Q는 등장하지 않으며 신무기도 없습니다. 단지 본드는 총과 자신의 몸만을 믿을 뿐입니다.
물론 007의 메인 테마와 함께 총을 발사하는 본드의 전신 샷이나 자신을 소개하는 멘트인 ‘본드, 제임스 본드’(어떤 장면에서 등장하는지 찾아보시길!) 그리고 M과 매력적인 본드 걸의 존재는 여전합니다. ‘몽상가들’과 ‘킹덤 오브 헤븐’의 에바 그린이 발산하는 현대적인 매력은 대단합니다. 빨려 들어갈 것 같은 커다란 눈망울만큼은 그녀가 다른 어떤 여배우들보다 비교 우위에 있음을 입증합니다.
하지만 상당한 찬사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아쉬움이 남습니다. 우선 두 번의 압도적인 액션 이후에 중반부 이후는 도박물과 로맨스를 넘나들지만 일부 관객들에게는 늘어지게 느끼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본드가 순애보에 목매는 일편단심 민들레가 되었다는 사실에 익숙해지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게다가 결말부의 반전이 엔딩을 얼마 안남기고 허겁지겁 제시되며(이는 007의 필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특정 캐릭터의 성격을 감안하면 별것 아니긴 합니다만) 마지막 액션 장면이 전반부의 두 액션의 힘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그리고 본드의 상대역이자 악역인 르쉬프가 너무 나약하며 스토리 상 비중이 적습니다.
그러나 피어스 브로스넌까지 동일한 패턴이 고수되어 오던 시리즈의 공식을 갈아엎고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며 다니엘 크레이그라는 새로운 본드를 등에 업은 007이라는 캐릭터의 이미지 변신 또한 성공적입니다. 엔드 크레딧의 대미를 장식하던 ‘James Bond Will Return’의 약속을 기대합니다.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