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서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게이샤의 추억 - 말랑말랑한 오리엔탈 멜러 영화

가난 때문에 게이샤의 집에 팔려온 치요(장쯔이 분)는 하츠모모(공리 분)의 시기와 질투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치요는 회장(와타나베 켄 분)의 친절함에 게이샤가 되기로 결심하고 마메하(양자경 분)의 도움으로 본격적인 수업을 받게 됩니다.

감독 롭 마샬보다 제작자 스티븐 스필버그의 프로젝트로 오래전부터 설왕설래되었던 ‘게이샤의 추억’이 개봉되었습니다. 몇 년 전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주인공으로 김희선이 캐스팅된다는 소문도 있었고 최근에는 중국에서 일본에 대한 반감으로 상영 금지 처분을 받는 해프닝을 겪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파란만장한 게이샤의 일대기를 자극적으로 묘사할 것만 같은 선입견과 달리 ‘게이샤의 추억’은 한 게이샤의 성장기와 순애보를 다루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20세기 초반의 일본을 배경으로 비밀스런 게이샤의 삶을 그리려했지만 영화에서 보여주는 게이샤들의 생활은 그다지 신비스럽지 못합니다. 비밀스런 곳을 훔쳐보는 관음증과 같은 쾌감을 제공하지 못한 채 수박 겉핡기 수준에 머뭅니다. 자극적이거나 선정적인 장면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장쯔이가 선정적인 영화에 출연할 배우가 아니라는 사실을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민족적 자존심을 훼손했다는 이유로 중국에서 개봉 금지가 된 것은 넌센스입니다.) 따라서 영화의 갈등 구조는 생각보다 강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말랑말랑한 멜러물에 가깝습니다. 화려한 영상이 눈요기 거리이기는 하지만 제작비가 많이 들었을 것이라는 느낌 외에 큰 감동을 선사하지는 못합니다. 게이샤가 비록 ‘상품으로서 소비되는 여성’이라 할지라도 한 젊은(혹은 어린) 여성이 중년 유부남에게 우직하게 순정을 바치는 것이 영화의 주제라면 수동적인 여성이 주인공이라는 이유로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으며 서구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어설픈 오리엔탈리즘의 반영이라는 논란을 불러일으킬 확률도 없지 않습니다.

‘게이샤의 추억’에서 발견할 수 있는 매력은 다양한 국적의 동양계 배우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는 것입니다. 일본을 상징하는 게이샤 역으로 중화권 배우들인 장쯔이, 공리, 양자경이 캐스팅되어 영어로 연기한 것도 이채롭지만 ‘라스트 사무라이’와 ‘배트맨 비긴즈’와 와타나베 켄, ‘쉘 위 댄스’와 ‘우나기’의 야쿠쇼 코지를 비롯한 굵직한 일본 남자 배우와 헐리우드 영화에서 동양계 악역 전문인 케리 히로유키 타가와와 ‘매트릭스 리로디드’의 키메이커로 출연한 한국계 배우 랜달 덕 킴까지 총동원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들 성인배우들보다 145분의 러닝 타임 중 45분을 책임지는 치요의 아역 오고 스즈카가 더욱 인상적으로 매우 깜찍하고 귀엽습니다. 푸른 톤의 컬러 렌즈를 끼지 않고 원래의 검정색 눈동자를 직접 선보였으면 더 나았을 것 같습니다.

덧글

  • 월랑아 2006/02/05 22:03 #

    친구가 보고 잤다고 비추라더군요...그래도 한번 보고싶어요.
  • 나무피리 2006/02/05 23:15 #

    장쯔이도 참 이뻤고, 좋아하는 양자경도 많이 나와서 좋더라구요.
    대사가 참 문학적이라서 책으로도 한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구요.
    긴 러닝타임이지만 지루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진 않았어요.
  • SAGA 2006/02/05 23:20 #

    일본 감독이 만들었으면 모를까 서양 감독이 만들었다고 하니 별 관심이 없습니다.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를 영화로 담아내려면 그 나라 감독이 맡아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말이죠. ^^;;;
  • xmaskid 2006/02/06 01:02 #

    게이샤가 주인공인데, 중국배우라니, 저는 처음부터 별로 호감이 가지 않더군요.
  • 이준 2006/02/06 09:16 # 삭제

    1. 상당히 괜찮았는데 의외로 이야기가 없는 "조이럭 클럽"이 생각이 나는군요. 원작의 수준이나 기타 주제를 끌고 나가는 방식이 비슷했습니다. 게이샤는 보지 않았는데 대략 원작의 분위기를 충실히 따라간다면 그 자체로도 괜찮다고 봅니다. -게이샤..의 원작은 상당히 괜찮게 보았거든요. (요새 나온 장쯔이 얼굴 박힌게 아니라 그 흑백 게이샤가 얼굴에 나와 있는 판 --)

    2. 어차피 헐리웃판 아시아 주제 영화도 상당수 아시아계 '미국"인이 만드는게 많습니다. -_-;;; 배우도 국제적인 명성을 생각한다면 무리 없는 캐스팅으로 봅니다. 푸에르토리코인이 북한인으로 나온 괴작 "만츄리안 켄디데이트"나 영국계 배우가 서태후를 연기한 "북경의 55일"이나 무려 한국인으로 나온 "전송가"의 엽기게 비해서는 낫지요
  • 이준 2006/02/06 09:57 # 삭제

    3. 사실 일본 무대라고 일본의 유명배우를 쓰면 "연기력"은 몰라도 "국제적 흥행"은 어려운건 사실이죠. 전쟁영화 도라~도라~도라~에 나온 일본의 일류급 배우들이 막상 헐리웃 관객에게는 어필하지 못하는 거나 같은 거 이겠죠 ^^;;;

    4. 그럼에도 미국 감독이 만들었다는 점에서는 말랑말랑한 오리엔털 멜러에서 벗어나기는 어렵겠군요. 이건 원작도 마찬가지입니다.
  • younguns 2006/02/06 12:40 #

    웬지 속은 느낌이였습니다 영화를 보고.............왜이리 허탈하던지... 저도 어릴때 역확을 맡은 소녀들이 더욱 인상깊었고....
    공리도 하물 갔나? 주연보단 조연으로........
  • 살찌니 2006/02/06 14:17 #

    저도 이영화는 아직 못봤는데 한번 보고 싶군요.

    캐스팅 문제는 위에서 이준님께서 지적하신대로 예전에 이보다 더 웃기는 캐스팅이 많았다는 사실...저도 잠시 생각나는게 왕과나의 율브리너, 모정에서의 중국 혼혈인역으로 제니퍼 존스 등...을 생각해보면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을 듯 하군요. 물론 전세계에 배급되는 영화겠지만 서구에서 만들었고 주로 서구를 대상으로 한 영화라 생각하면 그들에게 동양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전제로 만들었어야 한다는 요구도 좀 무리인 것 같구요....

    사실, 같은 동양인이고 어쩌면 가장 가까운 나라인 일본이긴 하지만 게이샤하면 당장 저 부터도 서구인들의 시각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딱 그정도 밖에 알고 있는 것이 없다는 점을 생각하면 적어도 저같은 사람이 보기에는 특별한 문제는 없을 듯 하네요.

    한번 보기는 꼭 봐야 할 것 같은데 참 시간 내기가 어렵네요.
  • agnes 2006/02/06 23:27 #

    내용은 꼬마 아가씨가 아저씨에게 품은 연심을 계속 갖는다는 것에서 포기했고 길이 10KM의 세트장 구경을 위해서 기꺼이 표를 살 생각입니다 ^^
  • 디제 2006/02/07 01:34 #

    월랑아님/ 보기가 아까울 정도로 형편 없는 것은 아닙니다.
    나무피리님/ 저는 원작 소설보다는 게이샤의 삶을 다룬 일본인의 책이나 다큐멘터리가 더 궁금하더군요.
    SAGA님, xamskid님/ 확실히 지적하신 그런 한계는 있습니다.
    이준님/ 원래 일본의 국민 배우는 야쿠쇼 코지지 와타나베 켄이 아닌데 '라스트 사무라이'와 '배트맨 비긴즈' 이후 '게이샤의 추억'에서는 와타나베 켄이 야쿠쇼 코지보다 훨씬 비중있는 역으로 등장하죠. 그게 바로 헐리우드에서 바라보는 일본인 배우관(觀)일 겁니다.
    younguns님/ 그래도 공리의 연기는 좋던데요...
    살찌니님/ 오래 갈 영화는 아닙니다. 극장에서 보시려면 서두르셔야 할 듯 합니다.
    agnes님/ 세트나 의상은 볼만합니다.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