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야수 - '현수'와 '이우진' 콤비의 버디 무비 영화

아버지가 다른 동생이 조폭들에게 살해당한 경찰관 장도영(권상우 분)과 3년 전 수사 과정에서 외압으로 수사를 중단하고 한직으로 밀려난 검사 오진우(유지태 분)는 출소한 조폭 두목 유강진(손병호 분)을 잡기 위해 의기투합합니다.

동물적이고 다혈질 형사와 이지적이고 냉철한 검사의 버디 무비 ‘야수’는 여러 영화들을 콜라쥬한 듯합니다. 말보다 주먹이 앞서는 싸움꾼 장도영은 권상우의 대표작 ‘말죽거리 잔혹사’의 현수가 정문고를 자퇴한 후 점정 고시를 보고 어른이 되어 형사가 된 듯하며 오진우는 ‘올드보이’의 이우진이 검사로 전업한 듯 보입니다. 표면적으로는 번듯한 인물이지만 사실은 온갖 대형 범죄에 연루되어 있는 악인을 잡기 위해 일로매진하는 검사를 묘사한다는 점에서는 ‘공공의 적2’를, 거친 질감의 화면에 선과 악의 대립과 몸을 사리지 않는 경찰관을 조명한다는 점에서는 ‘무간도’를 연상케 합니다.

느와르와 액션, 스릴러와 버디 무비의 혼성 잡종 ‘야수’는 그러나, 대중적인 흥행 코드를 지닌 작품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우선 유머 감각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두 주인공은 지나치게 진지하고 경직되어 있으며 소리 지르기 바쁩니다. 선이 굵은 남성 캐릭터로 힘 있게 이끈다는 의도는 알겠지만 한국 영화판을 먹여 살리는 여성 팬에게 어필하기에는 극중 여성 캐릭터가 지나치게 밋밋하고 비중이 약해 감정 이입이 어렵습니다. 로맨스도 취약합니다. 강약 조절 없이 시종일관 밀어붙이며 감정적으로 분출해내고 쏟아내기 바쁘던 스토리는 종반부에서 어이없는 결말로 종결됩니다. 영화 개봉 전, 일반적인 한국 영화의 결말과는 다르다는 언급에 의외의 반전이 도사리고 있을 줄 알았지만 개연성이 부족한 널뛰기식 결말이라 황당한 느낌마저 들었습니다. 80년대 후반 홍콩에서 쏟아졌던 홍콩 느와르 범작의 엔딩과 20여년 만에 재회한 듯 합니다. 비록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지만 이런 스타일의 영화가 한국 영화계에 드물며 좋아하는 장르여서 객관적으로는 높은 점수를 줄 수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즐겁게 감상했습니다. 영화를 보고 나서 소주 한 잔이 간절해졌습니다. ‘공각기동대’와 ‘인랑’의 가와이 겐지가 음악을 맡은 것도 매력 포인트입니다.

곱상한 이미지를 떨치기 위해 터프 가이로 변신한 권상우의 연기는 애처롭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태풍’에서의 장동건보다 ‘야수’의 권상우에게 더 후한 점수를 주고 싶을 정도로 연기가 좋아졌습니다. (영화의 완성도도 '태풍'보다는 '야수'가 그나마 낫습니다.) 촬영 도중 고생한 흔적도 역력합니다. 액션 연기도 온몸을 던지며 혼신의 힘을 다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권상우의 열연은 후반부에 힘이 떨어지는 시나리오 때문에 뒷전에 파묻힙니다. 유지태의 연기는 ‘올드보이’의 이우진과 너무나 흡사해 별로 평가할 여지가 없습니다. 영화 홍보는 유지태와 권상우의 버디 무비처럼 홍보되고 있지만 권상우에 비해 유지태의 비중은 상당히 약합니다. 영화 속 절대악을 상징하는 조폭 보스로 분한 손병호는 ‘파이란’의 용식보다 업그레이드된 기업형 대형 조직의 묵직한 조폭 보스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손병호에게는 조폭 보스 배역 제의가 많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스코리아 뉴욕 진이자 가수 신해철의 부인으로 유명한 윤원희가 중간에 재즈 가수로 대사 없이 출연했습니다.

사족이지만 이채로웠던 것은 극중 세 주인공의 이름이 모두 실존인물과 동일하다는 점입니다. 장도영은 5.16 군사 쿠데타 당시 육군 참모 총장이었으며 박정희의 쿠데타 정부에서 군사혁명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가 축출된 인물이고, 오진우는 북한에서 김일성에게 절대적 신임을 얻어 인민무력부장(국방부장관)에 올랐다 1995년 사망했던 인사이며, 유강진은 지금도 한국 성우계에서 알아주는 베테랑 성우입니다. 극을 이끌어가는 세 인물의 이름이 모두 실존인물과 겹치는 것은 우연이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덧글

  • SAGA 2006/01/13 08:05 #

    권상우는 어느 드라마를 봐도 예전 곱상한 이미지를 떨궈내려고 별의별 짓을 다하고 있죠. ㅡㅡ;;; 솔직히 이런 영화는 권상우와 유지태의 비중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균형을 잡는 것과 이 둘이 상대해야하는 악역 손병호가 얼마나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로 등장하느냐가 관건인 거 같은데...... 다음주에 보려고 예매를 해두었으니 한번 보고 온 다음에 평가해야겠습니다. ^^
  • 에우 2006/01/13 14:38 #

    디제님은 바탕 지식이 참 많으신거 같아요.- 연륜인가 ( --)/
  • 디제 2006/01/14 00:16 #

    SAGA님/ 권상우의 연기는 그런대로 괜찮은데 영화 자체가 다소 허술합니다.
    에우님/ 연륜이라뇨... 저 나이 별로 안 많습니다만... --;;;
  • 이준 2006/01/14 08:06 # 삭제

    장도영이나 오진우는 그렇지만 유강진씨는 혹시 성명 도용으로 소송을 걸지 않을까요(웃음)
  • lunamoth 2006/01/14 19:15 # 삭제

    아예 무간도쪽으로 제대로 갔으면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 rodigyp 2006/01/14 23:30 #

    등장인물들의 이름에 대한 이야기는 흥미롭군요.
    저는 손병호의 연기가 가장 인상에 남습니다.
  • 디제 2006/01/15 01:07 #

    이준님/ 개인적으로 성우 유강진님의 목소리를 참 좋아하는데 이런 조폭 두목의 이름이라니 좀 황당했습니다.
    lunamoth님/ 제 생각으로는 감독이 '무간도' 수준의 각본을 쓸 능력은 없는 것 같았습니다. '무간도'처럼 극한에 달하는 인간의 고뇌를 짚어내기 보다는 겉으로 보이는 스타일이나 영상, 액션에만 치중한 것 같았습니다.
    rodigyp님/ 손병호야 원래 연기 잘하는 배우였죠. ^^;;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