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화 ~ 제42화의 리뷰는 여기로
치마코레 건담 5 - 기동전사 건담 시드 데스티니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1-6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7-11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12 데스티니 건담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13 프리덤 건담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14 무라사메(발트펠드 전용기)
건담 시드 더 하이퍼 - 01 포스 임펄스 건담
건담 시드 더 하이퍼 - 02 소드 임펄스 건담
건담 시드 더 하이퍼 - 03 프리덤 건담
건담 시드 더 하이퍼 - 04 저스티스 건담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1. 신 아스카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2. 아스란 자라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3. 루나마리아 호크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4. 메이링 호크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5. 스텔라 루셰
건담 캐릭터즈 - 기동전사 건담 시드 데스티니 편
'건담 시드' & '데스티니' 관련 상품
보이스 아이돌 - 신 아스카
GFLEX의 15번째 라인업은 네오 전용 윈담입니다. 지구에 내려온 네오 로아노크가 탑승했던 기체로 본편에서의 활약이 미미해 프라모델로 발매되지 않았습니다만 '기동전사 건담 시드 데스티니'에 등장하는 MS들 중에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합니다. 이름에는 건담이라고 붙지 않았고 양산형이며 듀얼 아이가 아니라 모노 아이이지만 건담과 비슷한 스타일에 늘씬한 실루엣과 자주색이 조화를 이룬 잘 나온 메카닉 디자입니다. '기갑전기 드라고나'의 드라고나2 리프터와 비슷하기도 합니다.

박스는 네오 전용 윈담의 컬러링인 자주색으로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이그저스도 자주색이었죠.
왼쪽부터 박스, 설명서와 사탕과자, 그리고 피겨입니다. 변형이 필요 없고 복잡한 부품이 없어서 본체는 조립된 상태입니다.
커다란 빔 라이플과 실드, 샤프한 프로포션이 잘 재현되었습니다. 굳이 흠을 잡자면 재질의 한계로 인해 성형 과정 이후 비뚤어진 V자형 안테나 정도만 눈에 띄는군요. 헤어 드라이어로 바로 잡아주면 됩니다.

뒷모습도 상당히 잘 빠졌습니다. 패널 라인을 먹선 작업을 하면 훨씬 볼만 하겠군요.

제트 스트라이커 팩을 펼친 비행 상태입니다. 훨씬 멋집니다.

정면 클로즈업입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도색 상태도 양호합니다.

GFLEX로 발매된 팬텀 페인입니다. 왼쪽부터 가이아, 카오스, 네오 전용 윈담, 어비스입니다. 변형을 염두에 둔 가이아, 카오스, 어비스와 달리 변형이 필요 없는 네오 전용 윈담의 프로포션이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7월 초에 발매된 MSIA 네오 전용 윈담이 아직도 국내에 수입되지 않았는데 입수되는대로 사진을 올리겠습니다.
치마코레 건담 5 - 기동전사 건담 시드 데스티니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1-6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7-11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12 데스티니 건담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13 프리덤 건담
건담 시드 데스티니 GFLEX 14 무라사메(발트펠드 전용기)
건담 시드 더 하이퍼 - 01 포스 임펄스 건담
건담 시드 더 하이퍼 - 02 소드 임펄스 건담
건담 시드 더 하이퍼 - 03 프리덤 건담
건담 시드 더 하이퍼 - 04 저스티스 건담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1. 신 아스카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2. 아스란 자라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3. 루나마리아 호크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4. 메이링 호크
건담 시드 데스티니 EF 컬렉션 - 5. 스텔라 루셰
건담 캐릭터즈 - 기동전사 건담 시드 데스티니 편
'건담 시드' & '데스티니' 관련 상품
보이스 아이돌 - 신 아스카
GFLEX의 15번째 라인업은 네오 전용 윈담입니다. 지구에 내려온 네오 로아노크가 탑승했던 기체로 본편에서의 활약이 미미해 프라모델로 발매되지 않았습니다만 '기동전사 건담 시드 데스티니'에 등장하는 MS들 중에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합니다. 이름에는 건담이라고 붙지 않았고 양산형이며 듀얼 아이가 아니라 모노 아이이지만 건담과 비슷한 스타일에 늘씬한 실루엣과 자주색이 조화를 이룬 잘 나온 메카닉 디자입니다. '기갑전기 드라고나'의 드라고나2 리프터와 비슷하기도 합니다.

박스는 네오 전용 윈담의 컬러링인 자주색으로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이그저스도 자주색이었죠.

왼쪽부터 박스, 설명서와 사탕과자, 그리고 피겨입니다. 변형이 필요 없고 복잡한 부품이 없어서 본체는 조립된 상태입니다.

커다란 빔 라이플과 실드, 샤프한 프로포션이 잘 재현되었습니다. 굳이 흠을 잡자면 재질의 한계로 인해 성형 과정 이후 비뚤어진 V자형 안테나 정도만 눈에 띄는군요. 헤어 드라이어로 바로 잡아주면 됩니다.

뒷모습도 상당히 잘 빠졌습니다. 패널 라인을 먹선 작업을 하면 훨씬 볼만 하겠군요.

제트 스트라이커 팩을 펼친 비행 상태입니다. 훨씬 멋집니다.

정면 클로즈업입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도색 상태도 양호합니다.

GFLEX로 발매된 팬텀 페인입니다. 왼쪽부터 가이아, 카오스, 네오 전용 윈담, 어비스입니다. 변형을 염두에 둔 가이아, 카오스, 어비스와 달리 변형이 필요 없는 네오 전용 윈담의 프로포션이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7월 초에 발매된 MSIA 네오 전용 윈담이 아직도 국내에 수입되지 않았는데 입수되는대로 사진을 올리겠습니다.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