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우리 민족끼리 총부리를 겨누었던 더러운 전쟁이 동막골만을 피해갈 수는 없는 법. 중반부 이후 동막골의 평화는 결코 지키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감이 얼핏 드는 순간, 영화는 정공법으로 반전하며 한국 전쟁의 비극을 직시합니다. 그리고 결코 타협하지 않는 결말을 향해 치닫습니다.
박광현 감독의 데뷔작이만, 영화 ‘동막골’은 원작 연극, 영화 각본(공동 각본)의 작자이며 제작에도 참여한 장진의 것입니다. 분단과 냉전의 부조리함으로 관객에게 웃음을 선사한다는 점에서는 ‘간첩 리철진’과 맞닿아 있으며, 상황은 현실적이지만 불꽃놀이와 같은 화려한 클라이막스는 장면이 매우 환상적이라는 점에서 ‘아는 여자’를 떠올리게 합니다. 과거 장진의 영화들이 이것저것 벌려놓은 기발한 상황을 제대로 매조지하지 못한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동막골'에서는 그런 2% 부족함에 대한 아쉬움이 깨끗이 사라졌습니다. 물론 신하균(표현철 소위 분)이 부적응자 국군으로 등장하고 인민군과 국군이 친해진다는 점에서는 박찬욱의 ‘공동경비구역 JSA’(이하 ‘JSA’)를 연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조금 억지를 부린다면 동막골은 ‘JSA’의 프리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JSA’와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다뤄졌던 분단 상황에 대한 인식은 ‘동막골’에서 한 걸음 더 진보했습니다. 동막골의 평화를 해치는 진정한 적은 - 스포일러가 될까봐 자세한 언급을 할 수는 없지만 - 인민군과 국군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언제나 국군 만세, 인민군은 빨갱이라는 반공 교육을 받고 자란 세대이기 때문에 ‘동막골’과 같은 영화를 보고 있으면 시대가 변했구나, 좋아지고 있구나, 라는 것을 체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 당장 북한에서 상영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무정부주의적인 신하균보다는 인민군 장교 리수화 상위(국군 계급으로는 대위)역을 맡은 정재영이 더 좋았습니다. 늘 그렇듯 무뚝뚝하면서도 투덜거리는 듯한, 터프하면서도 귀여운 이미지를 잘 살렸습니다. ‘실미도’에서도 그랬고, ‘아는 여자’에서도 그랬지만 보고만 있어도 듬직한 배우입니다. ‘아는 여자’에서도 잠시 등장했었던 임하룡이 상당한 비중으로 등장하는 것도 좋았습니다. 단순한 코미디언에 머물지 않고 장진 사단의 영화에 다시 출연해 조연으로 빛내주는 것도 좋군요. 최근 한국 영화의 파이가 커지면서 백윤식, 김영철 같은 중견 탤런트들이 영화에서 빛을 보고 있는데 중견 코미디언 중에서도 성공하는 영화 배우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최근 한국 영화에서 가장 잘 나가는 여배우인 강혜정은 의외로 등장 시간은 짧지만 상당한 임팩트를 보여줍니다. 출연하는 영화마다 다양한 색깔을 선보이는 강혜정은 앞으로 더더욱 폭넓은 연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과 만족감을 선사합니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과 기타노 다케시 영화에서 음악을 전담하다시피 했던 히사이시 조의 음악은 영화와 잘 맞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차차리 한국의 영화 음악가에게 맡겨서 토속적이고 한국적인 분위기의 배경 음악을 삽입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지나치게 히사이시 조의 색깔이 강해서 장면과 배경은 한국적인데 음악은 일본적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80억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제작비를 쏟아부은 ‘동막골’의 흥행 여부는 타협하지 않고 밀어붙이는 결말에 대해 일반 관객이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입소문을 내느냐에 달려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 상업 영화의 공식인 전반부 웃음, 후반부 감동이라는 공식에 억지로 끼워 맞추기에는 아까운 작품입니다. 따라서 단순한 코미디 영화로 보아서는 안됩니다. 적당한 선에서 관객의 비위를 맞추려 하지 않고 분단을 직시하는 결말로 막을 내린 ‘동막골’을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