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에이리언4 - 잃어버린 에이리언의 도시 영화

오늘의 지름신 강림('에이리언' 4부작 dvd 박스셋 오픈 케이스)

에이리언 - 여전히 유효한 걸작 SF 호러
에이리언2 - 모성과 모성의 불꽃튀는 대결
에이리언3 - 에이리언보다 무서운 죽음의 자본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 - 너무 짧은 롤러 코스터

인게이지먼트 - 이것이 인생이다

에이리언의 유충과 함께 용광로로 뛰어든 리플리를 군이 복제인간으로 부활시켜 에이리언을 번식하려 합니다. 에이리언을 사육하겠다는 군의 계획은 물거품이 되고 리플리와 베티 호의 승무원들은 위기에 빠집니다.

'에이리언3' 이후 ‘‘에이리언4’가 나온다면 이번에는 리플리가 에이리언의 가슴을 뚫고 튀어나올 것’이라는 농담을 한동안 하고 다녔습니다만 1997년 정말 ’에이리언4‘가 개봉되었습니다. ‘델리카트슨’과 ‘잃어버린 아이들의 도시’의 장 피에르 주네가 감독한 ‘에이리언4’는 ‘Alien: Resurrection(부활)’ 이라는 원제처럼 리플리와 에이리언의 부활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전까지의 시리즈에서 리플리와 에이리언이라는 필수 요소를 제외한다면 각 편의 감독들이 완벽하게 자신의 영화로 소화해낸 것처럼 장 피에르 주네도 ‘에이리언4’를 자신의 영화로 소화시키려 노력한 흔적이 역력합니다. ‘잃어버란 아이들의 도시’의 촬영 감독 다리우스 콘쥐와 배우 도미니크 피뇽과 론 펄만을 합류시킨 점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덕분에 화면의 때깔이나 툭툭 튀어나오는 기괴함은 장 피에르 주네답습니다. 물속을 유연하게 헤엄치는 에이리언의 모습도 인상적이며 결말에 등장하는 아기 에이리언은 기괴함을 동화적으로 승화시키는 장 피에르 주네다움의 결정체입니다.

하지만 과거 공동 감독으로 함께 작업했던 마르끄 까로가 ‘에이리언4’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인지(그는 ‘에이리언4’의 몇 가지 컨셉 디자인에만 관여했을 뿐 본격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아니면 장 피에르 주네 자신이 각본을 쓰지 않아 자기 영화라고 생각하지 않아서 인지 알 수 없지만 ‘에이리언4’는 어딘지 허전한 작품입니다. DVD 서플에서는 폭스 사의 간섭이 없었다고 했지만 프랑스에 비해 장 피에르 주네가 마음껏 작업할 만한 분위기가 마련되지 못했던 것은 자명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에이리언4’는 장 피에르 주네의 영화와 상업 영화 사이를 방황합니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에이리언4’는 이전까지의 세 편의 작품들에 누를 끼친 작품이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리플리는 산성피를 내뿜는 천하무적의 여전사가 되어 감정 이입이 어렵습니다. ‘에이리언’의 공포, ‘에이리언2’의 모성, ‘에이리언3’의 희생과 같이 부각되는 주제 의식이 ‘에이리언4’에는 없습니다. 에이리언에게 모성애를 느끼는 리플리는 리플리답지 않습니다. 리플리가 리플리이기는 하지만 리플리가 아닌 것입니다. 조연급의 면면도 화려하지만 그게 전부입니다. 여전히 두 눈은 초롱초롱한 위노나 라이더이지만 퇴물이 되었다고 할 정도로 흡인력이 약합니다. 차라리 도미니크 피뇽과 론 펄만, 브랫 두리프가 비중은 적지만 위노나 라이더보다는 인상적입니다. 나이가 들어버린 시고니 위버를 대신해 새로운 에이리언 시리즈를 이끌어 가도록 의도한 위노나 라이더의 출연은 실패로 끝났습니다. 에이리언도 강력하지도 공포스럽지도 않습니다. 데이빗 핀처는 '에이리언3'로 에이리언을 끝장내려 했으나 결국 작품성을 인정받아 '에이리언4'를 탄생시키는데 일조했지만 리플리를 지구로 끌고가는 데 성공한(지구로 향하는 베티 호에 또다른 에이리언이 타고 있으며 '에이리언5'의 단초가 된다는 것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습니다.) 장 피에르 주네였지만 작품성과 흥행성 모두 신통치 않았습니다. 결국 폭스는 ‘에이리언5’를 포기하고 몇 년동안 묵혀둔 프로젝트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를 꺼내들기에 이릅니다.

덧글

  • 아마란스 2005/07/01 08:11 #

    모성을 느끼면서도 화려하게 혀뽑고(...) 죽이고 하는 모습도 이상했죠.;
    자신을 낳아준 부모를 패버리는(...) 폐륜아 에일리언의 등장이 유일한 만족거리. (...정말입니다.)
  • THX1138 2005/07/01 08:48 #

    화면은 좋았죠 근데 내용이 너무 황당했어요 =_= 디제님 말씀처럼 리플리가 리플리 같지 않아서 싫더군요. 보면서 어이없어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위노나 라이더는 왜 나왔는지 당췌 알수가 없더군요.
  • 마리 2005/07/01 10:32 #

    저는 그... 리플리가 농구공을 뒤로 던져서 한 번에 골대에 넣는 장면이 그래픽이 아닌 진짜,였다는 기사가 생각 나네요.
    화면은 좋았지만 제발 에이리언5는 안나와야 할텐데, 라면서 극장을 나선 기억이 있습니다.
  • FAZZ 2005/07/01 10:33 #

    H.R GIGER도 여기에서 완전히 배제되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불만이 많았습니다. 마지막에 인간의 유전자를 가진 에일리언의 디자인은 정말 어이 없었죠. 개인적으로 H.R GIGER가 디자인한 다른 에일리언 영화인 스페시즈에서 나오는 그런 에일리언 디자인을 기대했거든요.
    아쉬운 점이 많았어도 재미는 있었던 영화였습니다.
  • SuperDuper 2005/07/01 12:31 #

    이 영화는 뭐랄까.. 위노아 라이더와 론 폴만 보는 재미로 봤다는게..;; 물론 둘다 비중이라는 것은 전혀 없었지만요.;;
  • SAGA 2005/07/02 00:34 #

    에어리언은 3에서 끝나야한다는 생각에서 안보려다가 얼결에-케이블에서 한 걸 우연찮게 봤죠- 보게된 영화입니다. 뭐, 그렇게 기대도 하지 않았구요. 그런데 리플리가 자신의 클론들을 만나는 장면 하나는 기억남네요. 그런데 그 장면도 굉장히 밋밋하게 넘어갔던 걸로 생각되네요. 그

    리고 위노나 라이더는...... 외국 배우는 잘 몰라서 처음에 그냥 봤을땐 별 비중이 없길래 그저그런 배우인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알고보니 꽤 유명한 배우였더군요. 그런데 영화에서의 비중은 그게 뭔지...... ㅡㅡ;;;
  • 디제 2005/07/02 23:57 #

    아마란스님/ 리플리의 감정의 선이 너무 변덕스러웠죠. 고뇌에 초점을 맞추기에는 육체적으로 너무 강인해졌고요.
    THX1138님/ 위노나 라이더는 후속편을 위한 포석이었는데 흥행에 실패하면서 모두 흐지부지되었죠. 위노나 라이더는 나왔어야 할 영화(대부3)에는 안나오고 나오지 말았어야 할 영화(에이리언3)에는 나왔죠.
    마리님/ 브라이언 싱어나 크리스토퍼 놀란 같은 감독이라면 '에이리언5'도 기대해봄직하지 않나요?
    FAZZ님/ 기거는 이미 '에이리언2'에서도 배제되었고(퀸 에이리언은 제임스 카메론의 디자인이었습니다.) '에이리언3'에 참여하면서도 불만이 많았다고 합니다.
    SuperDuper님/ 론 펄만은 좋았습니다. 워낙 좋아하는 배우라서요. 영화속에서는 나이를 먹지 않고 언제나 '미녀와 야수'의 모습인 것 같습니다.
    SAGA님/ 자신의 클론들을 만나는 장면은 상당히 충격적이거나 징그럽게 묘사할 수도 있었을텐데 지적하신 것처럼 대충 넘어간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 마리 2005/07/05 09:53 #

    리플리가 너무 나이가 들어서요..ㅜㅜ
  • Bane 2005/07/07 22:35 #

    핀처의 작품보다 스타일의 용해도는 조금 낮았지만 그래도 주네의 실력이 왠만큼은 발휘된 영화였다고 생각해요. 결국은 재미있었거든요..^^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