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블랙 호크 다운 - 원인은 없고 결과만 있다 영화

아무리 마음 편히 보려고 해도 그럴 수 없었습니다. '블랙 호크 다운'말입니다. 극장 개봉 당시 보았을 때에는 그래도 미국 우월주의 같은 것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았습니다만 때가 때이니 만큼 이라크 상황과 고 김선일 씨가 떠오르면서 결코 마음 편히 볼 수는 없었습니다.

소말리아의 군벌 아이디드를 생포하기 위해 미군이 투입되었다가 습격을 받고 간신히 귀환하는 내용이라는 간단한 플롯의 이 작품에서는 미군 병사 한 명 한 명의 피격과 부상, 죽음이 징그러울 정도로 세세하게 묘사됩니다. 특히 허벅지에 관통상을 입은 병사의 혈관을 끄집어 내는 장면을 극장에서 처음 보았을 때에는 왠만한 고어 신에도 눈하나 깜짝하지 않던 제가 오금이 저려올 정도였으니까요. 하지만 식량을 통제하고 30만을 죽였다는 독재자 아이디드를 생포하는데 왜 수많은 소말리아의 시민들이 총을 잡고 아이디드를 지키려 하는지에 대한 아무런 설명이 없습니다. 그때문에 소말리아의 시민군은 무식하고 지저분한 흑인 게릴라로 치부되고 '해방군' 미군은 희생자처럼 그려집니다. 이것은 이라크 문제를 바라보는 현재의 미국의 입장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무엇을 위해 소말리아와 이라크에 미군을 투입했던 간에 소말리아와 이라크에서 미군 투입을 요청한 적은 없었습니다. 결국 소말리아에서 미군은 물러나고 말았고 이라크에서도 발을 빼려 하고 있습니다. 수렁은 빠지기 전부터 알아봐야 하는 것을, 이미 베트남에서 경험했지만, 고작 200년 밖에 안된 일천한 역사의 풋내기 국가 미국의 천박함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영화 자체의 비주얼과 사운드는 탁월합니다. '블레이드 러너'이후 20여년이 넘게 흘렀지만 여전한 현역 감독인 리들리 스콧과 제리 브룩하이머가 만났다면 비주얼에 있어서는 더 바랄게 없지요. 황색톤과 청색톤으로 슬로우 모션 화면이 적절히 교차되며 신 전환은 재빠르고 리얼한 특수효과에 묵직한 중저음과 사방에서 울리는 총성 덕분에 영화를 즐기는 것 자체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전쟁 영화의 제작이 드문 요즘 아비규환의 현대 시가전을 정말 기막히게 그렸음에는 틀림없습니다. 수퍼비트 DVD가 선사하는 dts 소리 샤워는 홈 시어터의 매력을 유감 없이 발휘합니다.

캐스팅은 또 어떻습니까. 꽃미남 스타일은 아니지만 진지함이 돋보이는, '진주만'으로 눈에 익은 조쉬 하트넷, 젊은 시절의 마이클 빈 같은 이미지를 보이는 에릭 바나(저는 헐크를 보았을 때에도 저 배우가 '블랙 호크 다운'에 나오는 줄은 몰랐습니다. '트로이'에서는 또다른 이미지더군요.), 행정병이지만 전투에 투입되어 행운이 따라 다니는 이완 맥그리거, 처음 부대에 배속되어 실전에 투입되지만 불운하게도 헬기에서 추락하는 올랜도 블룸까지 면면도 화려합니다. 아마 눈썰미가 있는 분들은 '아마겟돈'과 '퍼펙트 스톰'에서 굵직한 조연으로 등장했던 데이빗 피트너(라고 읽는 것 맞나요? 성이 'Fichtner'던데...)도 알아 보셨을테고요. 결국 '블랙 호크 다운'에서는 연기가 겉도는 배우가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왜 수천명의 소말리아 인들과 십수명의 미군이 죽거나 다쳐야 했나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 경우 침묵은 거짓말과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결과만 있고 원인은 없지요. 때문에 감상하는 내내 마음이 편치 못했습니다. 영화를 보며 쓸데 없이 너무 많은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요.

덧글

  • THX1138 2004/07/01 16:10 #

    영화 괜찮긴 했어요. 크레딧 올라갈때의 그 멍함은 오래가더군요.(천명 죽었다고 하는데 그 위의 자막은 누가 무슨 훈장받았고 어쩌고... 장난하는거죠.)
    에릭 바나 트로이에서 너무 멋있게 봤는데 블랙...에서 나온다길래 생각을해봐도 도대체가 어디서 나왔는지 기억이 안나더군요.(얼결에 두번이나 봤지만)
  • -sH- 2004/07/01 16:12 #

    델타포스 대원으로 나왔을껄요. 조쉬의 소대인가 분대인가와 같이 고립되서 싸우는...
  • 디제 2004/07/01 16:24 #

    중간에 투입되어 소말리아 민병대의 박격포병들을 목졸라 죽이고 탈취한 다음에 그 박격포로 소말리아 군을 공격하고 고립된 조쉬 하트넷의 부대와 합류합니다.
  • dony 2004/07/03 07:06 #

    오..캐스팅이 그랬었군요...영화볼때는 몰랐었는데..다른것은 기억이 가물가물한데..그 헬기에서 떨어지는 장면..그 사람이 올랜도 블룸이었다니..음..글 잘 읽었습니다.^^"
  • NightElf 2005/05/15 21:40 # 삭제

    전 이 영화는 미국적 양심의 한계가 어디인가를 보여 준 영화라고 생각하네요. 아무리 정치적 성향을 배제하려고 해도 배제되지가 않는 것이 영 거슬리더군요. 마지막 문장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이 영화보다는 차라리 철저하게 미군 내부의 문제만을 다룬 '커리지 언더 파이어'가 더 나아 보이네요.
  • kainan7 2007/12/31 13:37 # 삭제

    미국이나 전쟁의 이유보다는 군인들 육군 레인져나 스페셜 포스에 감독은 좀 더 촛점을 맞춘건 아닐까요. 영화 중반에 나오는'훝'으로 나오 바나와 '에버스맨' 하트넷의 대화가 기억에 남습니다. 특히 "You wanna know what I think? It don't really matter what I think. Once that first bullet goes past your head, politics and all that shit, just goes right out the window."
    미국의 입장에선 약간은 치사한 변명 같다고 여겼지만 실전을 치루는 군인들에겐 넘무나도 사실적인 이야기가 아닐까요.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