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의 애니와 영화 이야기

tomino.egloos.com

포토로그


메모장

KBReport 프로야구 필자/KBO 야매카툰/kt wiz 야매카툰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tominodijeh

LG 트윈스 야구 전 경기 아프리카 생중계 http://afreecatv.com/tomino

사진, 글, 동영상 펌 금지합니다. 영화 포스터의 저작권은 해당 영화사에 있습니다.

반말, 욕설, 비아냥, 협박 등의 악성 댓글은 삭제합니다. 비로그인 IP로 댓글 작성은 가능하지만 동일 IP로 닉네임을 여러 개 사용하는 '멀티 행위' 시 역시 삭제합니다.


달콤한 인생 - 심플함이 돋보이는 느와르 영화

장화, 홍련 - 세트와 소품의 미학

‘주먹이 운다’와 더불어 상반기 한국 영화의 기대작인 ‘달콤한 인생’의 팜플렛에는 ‘느와르 액션’으로, CGV의 타임 테이블에는 ‘스릴러’라고 장르 구분을 했지만 ‘느와르 액션’이 되기에는 액션이 다소 약하고 ‘스릴러’가 되기에는 내러티브가 단순합니다. 아무런 수식어가 붙지 않은 ‘느와르’ 혹은 아무리 양보해도 ‘액션 느와르’ 쪽이 더 어울리는 것 같군요.

하지만 ‘달콤한 인생’의 시나리오를 허술하다고 평가하는 것은 온당치 못한 것 같습니다. 조직 보스의 총애를 받던 한 사내가 어이 없이 운명이 급변하고 조직 전체와 맞서 싸우는 스토리는 어설픈 반전의 꼼수 따위에는 의존하지 않고 우직하게 단순함으로 승부를 건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따라서 시나리오나 내러티브보다는 비주얼과 스타일에 초점을 맞춰 감상한다면 ‘달콤한 인생’은 매우 다른 작품이 됩니다. 화려한 비주얼과 주인공 선우로 댄디 스타일이 단순한 시나리오 덕분에 힘이 넘치는 화면으로 뒷받침되는 것입니다.

비주얼의 화려함 뿐만 아니라 캐릭터 또한 매력적입니다. 깔끔한 완벽주의자 선우(이병헌 분), 카리스마 넘치는 보스 강사장(김영철 분), 가벼움이 매력인 문석(김뢰하 분), 비열한 백사장(황정민 분)까지 남성 캐릭터들의 개성은 그들의 행동보다는 대사에 의해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탄탄한 조연들과 이들이 말하는 멋진 대사 덕분에 ‘달콤한 인생’의 단순한 시나리오는 충분히 상쇄되고 있습니다. 태구 역의 문정혁(에릭)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지만 전화 목소리 외에는 대사가 없는 과묵한 캐릭터는 ‘인정사정 볼 것 없다’의 안성기를 연상케합니다. 태구만으로도 ‘달콤한 인생’의 외전 영화 한 편이 나올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근 드라마 ‘신입사원’에서 연기력을 인정받고 있는 문정혁이니 상상에 그치는 것만은 아닐 수도 있겠군요.

강사장의 여자로 선우를 흔들리게 만드는 희수(신민아 분)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지만 선굵은 마초 영화에서 적당한 수준이었습니다. 마초 영화에서 여성 캐릭터의 비중이 커지면 자칫 영화는 치정극이나 신파극으로 흘러갈 수 있으니 말입니다. 긴 생머리에 미니 스커트와 스니커, 첼로로 대표되는 청순한 희수의 이미지는 분명 로리타 컴플렉스를 자극하기 위한 것입니다. 조직을 위해 희생하던 사나이가 조직 보스의 여자와 얽히고 비극적인 종말을 맞이한다는 스토리 라인은 ‘초록 물고기’를 연상케하는 것으로 ‘달콤한 인생’은 사실주의의 걸작인 ‘초록 물고기’의 판타지 버전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초반부에서 깔끔한 완벽주의자인 선우의 캐릭터를 형상화는 부분은 매우 매끄럽습니다. 선우의 표정, 대사, 세세한 동작과 동선, 카메라 워킹과 세트까지 치밀하게 계산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조용한 가족’, ‘반칙왕’ 등에서 선보였던 김지운 감독의 유머 감각은 ‘달콤한 인생’의 중반부에서도 빛이 납니다. 초반부의 캐릭터와 상황 설정 이후에 등장하는 중반부의 개그 장면은 다분히 만화적입니다. 액션 장면은 생각 외로 많지 않고 짧지만 (예고편에 나온 것이 거의 전부라고 생각해도 될 듯. 예고편의 멋진 배경 음악이 영화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아 아쉬웠습니다.) 핸드폰 배터리, 시멘트 블럭, 불이 붙은 못 박힌 각목 등으로 매우 강렬하개 표현되는데 그 장면들을 만들기 위해 감독을 비롯한 스탭이 상당히 고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종반부에서의 피투성이가 된 채 쓰러지지 않고 싸우는 선우의 모습은 ‘스카페이스’의 알 파치노나 ‘영웅본색2’의 주윤발을 연상케합니다.

‘달콤한 인생’에는 러시아인 무기 밀매 업자와 필리핀 인 깡패들도 출연합니다. 서울이 그만큼 세계화된 도시가 되었다는 것이겠죠. 느와르의 불모지 한국에서 이 정도의 작품이 나왔다는 것은 매우 반가운 일입니다. 이제 한국 영화도 제작비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있으니 ‘달콤한 인생’을 능가할 수 있는 느와르가 보다 많이 제작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덧글

  • 제리스 2005/04/01 22:10 #

    재미있게 본 영화였죠. 뭐랄까...몸에 잔잔하게 소름이 돋았다고 해야하나요...맨 마지막에 나왔던 노래 너무 좋아했어요 //ㅁ//
  • 2005/04/01 22:33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디제 2005/04/02 02:04 #

    제리스님/ 저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배우들의 연기가 스크린에 꽉차는 느낌이었습니다.
    에스퍼님/ 대사들은 잘 기억나지 않는데... 다시 보고 확인해봐야 겠군요.
  • 피아노치는소년 2005/04/02 11:34 #

    안녕하세요? 정말이지 디제님 분석이 날카롭습니다.
    존경스럽습니다 ^^ 삼수생인 처지라.. ㅎㅎ
    http://www.orbi7.com/ 영화구에 제가 올린 글을 제 블로그에
    펀건데 ㅎㅎ 아직.. 트렉벡도 잘 모릅니다(ㅈㅅ)
    잘 보고 갑니다.
    저도 노력하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 Eskimo女 2005/04/02 18:40 #

    신민아(영화 마들렌의 공포 ㅡ.ㅡ)빼면 참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빨리 봐야지!
    참, 이글루스 피플, 보고 축하드려야지 하면서도, 너무 늦은 감이 없지 않아 있더군요 ㅋㅋ(이글루 운영자들 말예여 ㅋ) 좋은 하루 되세요~ :)
  • 디제 2005/04/02 22:46 #

    피아노치는소년님/ 저도 재수를 해서 그 고충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내년에는 부디 좋을 결과 있으시기를 빌겠습니다.
    Eskimo女님/ 신민아는 '달콤한 인생'에서 로리타 이미지로만 밀어붙이고 대사는 거의 없기 때문에 연기가 필요 없었습니다. 축하, 감사드립니다. ^^
  • lunamoth 2005/04/05 01:24 # 삭제

    진군블로그에서 들어와서 트랙백 걸어봅니다. 아무래도 잊지모할건 탈출신인듯 싶네요. 그 긴장감하며 돌파?에 완전히 매료되버렸습니다. ;)
  • 디제 2005/04/05 14:51 #

    lunamoth님/ 저는 선우(이병헌)의 깔끔한 완벽주의자라는 퍼스낼리티를 설명하는 초반부의 속도감 넘치는 편집이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 바람무늬 2005/09/12 00:54 #

    멋진 스타일 + 멋진 연기 = 멋진 영화였습니다. 디제님의 리뷰도 멋집니다! ^^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